하지만 광주역 존폐논란은 지난해 4월 호남고속철도 광주 송정역 개통에 따라 광주역 KTX의 운행이 중단되면서 주변상권이 급속이 쇠락하자 쟁점화 되고 있지만 활성화 방안은 제자리 걸음이다.
하루 이용객이 70%줄어든 1000여명에 달해 문 닫는 상가가 늘고 도심 슬럼화 조짐까지 보이면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지만 광주시의 대안은 미약한 수준이다.
2일 광주시에 따르면 KTX 진입이 중단 뒤 광주역 활성화에 대해 다양한 교통 기능 증대방안과 함께 주변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수서발 SRT 개통시 열차운행계획’에 따라 12월부터 서대전을 경유하는 신설된 KTX 운행노선이 광주 송정역으로 하루 왕복 4편, 편도 2편 운행되는 것으로 발표됐다.
여기에 광주시가 운영비용을 부담해 광주역-송정역 구간에 코레일이 12월부터 셔틀열차를 하루 왕복 28회 운영을 발표하자 시민단체들이 반대에 나섰다.
광주역·철길 시민환원 대책위원회는 이에 "철길 주변의 수많은 시민들은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고 교통정체는 더욱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며 “버스, 지하철과 환승이 되지 않는데 승객운임은 편도 2,600원. 이용객이 소수에 그칠 것이라는 부정적인 분석과 예산낭비에 대한 우려는 당연한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러한 광주시의 방안은 광주역 존치를 전제로 한 응급처방에 불과해 광주역 주변 활성화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과는 거리가 멀다는 여론이다.
교통기능 증대방안과는 별도로 광주역 주변에 활기가 차도록 도시재생 사업과 행복주택 사업 등도 추진하고 있지만 사실상 기존 추진해왔던 사업이 대부분이다.
중흥시장 빈 상가를 활용하는 광주역 청춘창의력 시장 조성사업이나 광주역 광장 주변 공공 디자인 사업, 서림로 일대 야구의 거리 조성사업 등이 고작 신규 사업으로 70억원 수준이다.
광주시는 광주역 앞 중흥동, 임동, 신안동 일대 213만㎡를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용역을 진행 중이지만 막대한 재원 마련과 건설경기 회복 여부가 관건이다.
광주시는 광주역 활성화 방안 용역 등 논의를 거듭하고 있지만 '존폐'부터 결론을 내지 못한 상황에 시의회와 지역주민들의 비판이 끊이질 않고 있다.
광주시의회 조오섭의원은 지난1일 시의회 5분 발언에서 "KTX 미진입으로 인한 광주역 주변의 문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한 사안"이라며 “모든 대안의 전제인 광주역 폐쇄부터 논의를 출발해 물꼬를 트자"고 주장했다.
이어 “광주역 문제는 2006년부터 예고됐고 그로부터 10년이 지났지만 시에서는 아직까지 광주역 활성화 방안과 주변 도심 공동화 해소를 위한 그 어떤 대책도 수립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그 자리에 행정·교육 복합 타운을 건설해 광주시교육청과 북구청, 북부경찰서, 광주예술고 등을 이전하자"고 제안했다.
대책위도 1일 "광주역-송정역 셔틀열차 운행과 같은 자충수를 그만두고, 광주시민이 동의하고 뜻을 모으는 길로 나아가기 위해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합리적 대안이 마련될 때까지 역의 기능을 존치하고 교통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이 시의 기본 방향이다"며 "존치를 해도, 폐쇄를 해도 장단점이 극명한 만큼 고민이 크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역은 KTX 개통 뒤 새마을호 등 운행횟수는 43회에서 23회, 이용객 수는 1일 4800여명에서 1180여명으로 44%와 75% 급감하는 등 교통 중추 기능을 상실과 함께 도심상권 공동화 문제로 지역현안이 되어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