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말레이시아 고속철 한중일 ‘수주 삼국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7-02-13 14:5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350km 구간 14조원 고속철 수주에 한중일 뛰어들어

  • 기술, 건설효율, 비용 측면에서 자신감 보이는 중국 "5년내 건설 가능"

  • 일본 신칸센 기술력 앞세워

  • 뒤늦게 참여한 우리나라 안전·비용 방면 경쟁력…해외경험 거의 전무

  • 한중일 공동 고속철 수주 가능성도 나와

말레이시아~싱가포르 고속철 개요[그래픽=임이슬 기자]

아주경제 배인선 기자 =동남아시아 고속철 사업 수주를 위한 한·중·일 삼국지가 본격화하고 있다.  올해 예정된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프르에서 싱가포르를 잇는 고속철 사업 입찰을 따내기 위한 한·중·일 삼국간 경쟁이 가열되면서다. 

총 350㎞ 구간을 연결하는 이번 고속철 사업은  말레이시아 구간이 335㎞, 싱가포르 구간이 15㎞다.  투자액은 총 120억 달러(약 14조원)로, 2년 후부터 착공해 2026년 12월 31일 이전 개통할 계획이다. 이로써 쿠알라룸프르에서 싱가포르까지 걸리는 거리는 기존의 5시간에서 1시간 30분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가장 자신감을 보이는 나라는 중국이다.  중국은 2008년 8월 처음 고속철을 개통한 후발주자지만 최근 전 세계 고속철  강자로 떠오르면서 기술력과 건설 효율, 비용 측면에서 자신감을 내비치고 있다.

황후이캉 말레이시아 주재 중국 대사는 지난달 중순 쿠알라룸프르에서 열린 고속철 홍보행사 자리에서 "현재 중국의 고속철 기술로는 5년내 싱가포르~말레이시아 고속철을 완공할 수 있다. 10년도 너무 길다. 5년이면 충분하다"고 말했다.

중국 교통운수부에 따르면 현재 중국의 고속철 운영거리는 이미 2만㎞를 돌파해 전 세계 고속철의 65%를 차지한다. 중국은 오는 2020년까지 고속철 운영 거리를 3만㎞까지 늘릴 예정이다.  자국 고속철 건설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 철도 건설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마스~ 조호바루의 철도를 비롯해 현재 말레이시아 철도의 약 80%를 중국이 건설하고 있다.  

 '세계 최초 고속철'이라는 타이틀을 보유한 일본의 강점은 기술력이다.  일본은 1964년 10월 세계 최초의 고속철인 신칸센의 도쿄~오사카 구간을 개통한 이후 고속철 기술을 부단히 업그레이드했다.  일본 고속철 최고속력은 시속 320㎞ 정도로,  2013년 3월 기준 고속철 총 운영거리는 2388㎞다.

쉬리핑 중국사회과학원 아태글로벌전략연구원 아태사회문화연구실 주임은  "일본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고속철을 최초로 개통한만큼 노하우와 기술력 측면에서 우위에 있다"고 진단했다.

중국·일본에 이어 우리나라도 뒤늦게 고속철 입찰에 뛰어들었다. 정부는 지난달 주도적으로 고속철 상부 사업단을 꾸려 입찰을 준비 중이다. 여기에는 철도시설공단·철도공사·철도기술연구원 등 철도관련 공공기관과 현대로템·KT·현대중공업 등이 참여했다.  

우리나라 고속철은 비용과 안전성 방면에서 경쟁력이 있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2004년 4월부터 운영된 KTX 고속철은 12년간 무사고 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국제철로연맹(UIC)에 따르면 한국의 안전지수는 0.073으로 세계 1위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해외 건설 경험이 거의 전무한 게 취약점이다.

이러한 가운데 한·중·일 삼국이 공동으로 이번 고속철 사업을 수주할 가능성도 나온다. 쉬리핑 주임은 "한국이 뒤늦게 입찰에 참여한 배경에는 아마도 한중일 삼국간 공동 협력을 염두에 둔 가능성이 크다"며 "한중일 삼국이 각각 서로 다른 구간을 나누어 수주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