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강영관·홍성환 기자 = 정부가 가계대출을 옥죈 이후 은행권 집단대출 금리가 큰 폭으로 뛰면서 주택시장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중도금 대출 협의가 지연되거나 상대적으로 고금리에 약정을 체결한 아파트 단지의 경우 고금리 부담에 수분양자들이 분양권 급매에 나설 경우 분양권 가격 하락이 주택 시장 전반의 시세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관련기사 3면>
1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1월 연 2.98%에서 8월 연 2.79%까지 하락했던 예금은행 집단대출 금리는 12월 연 3.16%로 4개월새 0.37%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집단대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신한·KB국민·우리·KEB하나·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금리는 지난해 9월 평균 연 3.15%에서 올해 1월 연 3.75%로 넉 달 동안 0.61%포인트나 급등했다.
더욱이 작년 12월 기준으로 5대 은행의 집단대출 평균금리(연 3.68%)가 개인을 기준으로 한 분할상환방식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3.45%)를 넘어선 상황이다.
금융당국이 집단대출을 조이는 가운데 은행권 금리마저 상승하면서 집단대출 증가세도 둔화됐다. 특히 1월부터 집단대출 가운데 잔금대출에 대해 돈을 빌리는 사람의 소득 심사를 강화하는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적용됨에 따라 집단대출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1월 현재 5대 시중은행의 집단대출 잔액은 108조538억원으로 작년 12월(108조3857억원)보다 3319억원 줄어들면서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5대 은행의 집단대출 월간 증가폭은 작년 9월 1조510억원에서 10월 9246억원, 11월 7669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축소됐고 12월 들어서 감소세로 전환됐다.
불과 1년 전인 2015년 9~12월 4개월 동안 7조2683억원 늘어난 것과 비교해 증가세가 크게 꺾였다.
이런 상황은 앞으로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은행들이 리스크 관리에 중점을 두고 주택담보대출을 비롯한 가계대출을 조이기에 나섰기 때문이다. 은행들이 금융당국에 제출한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는 평균 6.9% 수준이다. 앞서 지난해 10% 넘게 늘어난 것에 비해 크게 낮아진 수치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작년 하반기 정부에서 가계대출 규제를 강화함에 따라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높이는 방식으로 속도 조절에 나서고 있다"면서 "여기에 부동산 시장도 주춤한 모습을 보이면서 대출 심사를 까다롭게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은행권이 아파트 집단대출을 바짝 옥죄면서 '대출절벽'에 따른 실수요 피해도 커질 전망이다. 실제 지난해 화성 동탄2신도시에서 최고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던 한 아파트의 경우 최근 지방은행 2곳과 금리 연 4.2%에 중도금 대출 약정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1년 전 보다 금리가 1%포인트가량 오른 것으로, 피해는 고스란히 수분양자에게 돌아갈 가능성이 높아졌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11·3부동산정책과 금융권의 집단대출 강화 등의 영향으로 분양권 시장이 침체된 가운데 입주예정자의 자금 여력이 약해지면 입주예정 단지에서 분양권 급매물이 쏟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실제 성남시 창곡동 '위례우남역푸르지오' 2단지 전용 83㎡ 분양권은 시세가 7억3000만~7억5000만원 안팎으로 최근 2000만원 안팎 가격을 낮춘 매물이 나왔지만 거래가 거의 실종됐다. '화성시 동탄면 '호반베르디움3차' 전용 84㎡는 거래가 눈에 띄게 줄면서 가격을 2000만원 안팎 낮춘 급매물도 나오고 있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리서치팀장은 "아파트 청약시 강화된 기준에 맞춰서 준비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입주시기에 급매물로 내놔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같은 현상이 일반화할 경우 시세 하락을 부추기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