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100년 한국 제약사(史)를 다시 썼다." 1999년 7월 국산 신약 1호가 탄생하자 여기저기서 찬사가 나왔다. 주인공은 항암제 '선플라'다.
선플라는 SK케미칼이 개발한 위암 치료제다. 1990년 5월부터 9년간의 연구·개발(R&D)를 거쳐 만들어진 신약이다. 이 과정에 정부출연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지원금 13억6000만원을 포함해 모두 81억원이 들어갔다.
임상시험 성적도 좋았다.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결과 특히 같은 계열의 기존 제품보다 부작용은 적고, 암을 치료하는 효과는 높았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1999년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선플라의 시판을 승인했다. 토종신약 1호 탄생에 시장은 한껏 들떴다.
선플라는 토종 기술로도 고부가가치를 지닌 신약을 개발할 수 있다는 걸 증명했다. 세계적인 신약 1개의 이익은 자동차 300만대 수출액과 맞먹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당시만 해도 국내 제약업계는 해외에서 개발한 신약을 들여오거나 모방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국내에서 신약 후보물질부터 임상까지 신약 개발의 전 과정이 이뤄진 것도 의미가 깊었다. 연간 50억~70억원가량의 항암제 수입대체 효과도 기대됐다.
식약처는 "국내 제약산업 수준을 한 단계 높이고 국제 경쟁력을 제고할 기반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한국 제약산업사에 일대 전환점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런 공로로 시판 첫해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의 '신약개발상'을 받기도 했다.
SK케미칼은 국내 승인과 함께 해외 시장 개척에 나섰다. 제약 선진국인 미국·영국·프랑스 등의 현지 제약사와 수출을 추진했다.
하지만 10년 뒤 선플라는 시장에서 자취를 감췄다. 부진한 매출 탓이었다. 2001년 30억원을 기록했던 매출은 2002년에는 23억원으로 뒷걸음질쳤다. 이후 매출은 더 떨어졌다. 결국 회사는 2009년 '생산 중단' 결정을 내렸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해마다 국산 신약 생산액 자료를 내놓는데, 선플라 매출액은 2009년 이후 '0원'을 기록한다.
선플라의 부진은 제품을 쓸 수 있는 치료 범위(적응증)가 제한적이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 우리나라와 일본 등 몇몇 국가를 제외하고는 위암 치료제 시장이 크지 않다. 치료 효과가 더 좋은 신약과 값싼 제네릭(복제약)이 속속 등장한 것도 악재로 작용했다.
SK케미칼은 적응증을 늘리기 위한 임상시험을 추가로 진행하며 명예 회복에 나섰다. 하지만 선플라는 결국 시장의 선택을 받지 못하며 '실패 토종신약'으로 불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