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권영전 기자 =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이 함께 운영하는 구인·구직 포털 '워크넷(www.work.go.kr)'에는 최근 수출업체 A기업이 2017년 신입 공개채용을 진행한다는 정보가 올라왔다.
워크넷의 이 채용정보는 네이버·다음 등 주요 포털사이트를 통해서는 찾아볼 수 없다. 포털에는 일부 민간 채용사이트나 블로그의 안내와 언론 기사만 실려있을 뿐이다.
보건복지부의 위탁을 받아 운영하는 '실종아동전문기관(www.missingchild.or.kr)' 홈페이지에는 지난해 실종된 B(16)양의 사진과 인상착의 등이 자세히 게시돼 있다.
이 정보 역시 다음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네이버에서도 실종아동전문기관 제공 자료는 찾아볼 수 없고, 경찰청이 제공한 비슷한 내용의 정보를 보여줄 뿐이다.
널리 알려야 할 채용정보와 실종아동 정보가 포털에 노출되지 않는 것은 이들 사이트가 검색엔진의 접근을 막고 있어서다.
숙명여대 웹발전연구소는 정부가 직접 운영하거나 위탁해 운영하는 포털 57곳의 웹 개방성을 평가한 결과 10곳 중 1곳은 검색엔진의 접근을 완전히 차단하는 등 웹 개방성이 '매우 미흡'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이런 평가를 받은 곳은 워크넷과 실종아동전문기관 외에도 코리안넷(www.korean.net), 국가해양환경정보통합시스템(www.meis.go.kr), 교육훈련정보센터(www.training.go.kr), 해외취업월드잡(www.worldjob.or.kr) 등 모두 6곳(10.5%)이었다.
검색엔진의 접근을 완전히 막지는 않았지만, 일부 막은 정부 포털도 있었다.
국민신문고와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복지로,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박물관, 공공데이터포털,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등 모두 16곳(28.1%)이다.
네이버와 다음, 구글 등 검색엔진은 평소 검색 로봇이 인터넷 사이트를 돌아다니며 정보를 수집하도록 한다.
이용자가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하면 검색 로봇이 수집한 정보를 분석해 가장 연관성이 높은 사이트를 이용자에게 추천한다.
그러나 검색 로봇은 사이트 운영자가 '우리 사이트는 검색엔진의 접근을 원하지 않는다'고 선언하면 해당 사이트의 정보는 수집하지 않고 그냥 지나친다.
사이트 운영자는 서버 내 'robots.txt'라는 파일에 검색 로봇의 접근을 허용할지 막을지 적어두는데 검색 로봇이 이 파일을 먼저 살펴 자신이 정보를 수집할지 말지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일부 사이트 운영자는 사이트 보안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오해해 검색 로봇의 접근을 막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해커들은 검색 로봇의 접근을 막는 사이트에 뭔가 중요하거나 비밀스러운 정보가 있다고 추측하고 오히려 해킹 표적으로 삼기도 한다는 것이 보안업계의 지적이다.
웹발전연구소 대표인 문형남 숙명여대 IT융합비즈니스전공 교수는 "공공기관이 검색엔진 접근을 차단하는 것은 국민의 정보 접근을 차단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특히 채용정보나 실종아동정보 등 널리 알려야 할 정보를 다루는 사이트까지 검색엔진의 접근을 막는 것은 난센스"라고 지적했다.
문 교수는 "연구소가 2년 전 59개 사이트에 대해 평가했을 때 3곳(5.1%)이 검색엔진을 완전차단했고, 10곳(33.9%)이 부분차단했다"며 "2년이 지난 지금도 별로 나아진 점이 없다"고 꼬집었다.
행정자치부는 2012년과 2014년 두 차례 행정·공공기관과 지자체 홈페이지에 검색 로봇의 접근을 허용하는 등 웹 개방성을 강화하라는 지침을 내린 바 있다.
comma@yna.co.kr
(끝)
[연합뉴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