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은 2000년부터 2015년까지 교육수준에 따른 출생‧사망‧혼인‧이혼율 등 인구동태율의 차이와 변화추이를 분석한 결과를 이같이 밝혔다.
23일 분석결과에 따르면 지난 2015년 기준 남자 고졸의 혼인율은 대졸이상 보다 0.4배 낮았다. 20세 이상 남자 전체의 혼인율(1000명당 혼인건수)은 15.1건인 가운데 대졸이상(24.5건)이 가장 높았다. 이어 고졸(9.8건), 중졸이하(3.6건) 순으로 나타났다.
평균 초혼연령은 남자 대졸이상(32.5세)이 가장 낮았고, 고졸(32.8세), 중졸이하(36.5세) 순이었다.
20~49세 여자 전체의 합계출산율은 1.23명인 가운데 중졸이하가 1.60명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대졸이상(1.32명), 고졸(1.02명)이 뒤를 이었다.
여자 고졸의 출산율은 대졸이상에 비해 20대 후반에는 1.1배 더 높지만, 30대부터는 0.6배 수준으로 낮아졌다.
여자 고졸의 출산율 감소폭이 더 컸다. 지난 2000년에 비해 지난 2015년 여자 고졸의 합계출산율은 0.49명 감소했고, 대졸이상은 0.16명 줄었다.
지난 2000년부터 2005년까지는 여자 고졸의 출산율이 가장 많이 감소했다. 2005~2015년까지는 대졸이상과 중졸이하의 출산율이 증가한 반면, 고졸은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지난 2015년 남자 고졸의 이혼율은 대졸이상보다 1.5배 높았다. 20세 이상 남자 전체의 이혼율(1000 명당 이혼건수)은 5.4건으로 고졸(6.4건)이 가장 높았고 중졸이하(5.7건), 대졸이상(4.4건) 순으로 낮아졌다. 남자 고졸의 이혼율은 대졸이상에 비해 30대에는 2.2배로 가장 높았다. 이후 점차 낮아지나 50대에도 1.5배 수준으로 높았다.
지난 2015년 60세 이상에서 중졸이하의 사망률은 대졸이상보다 2배 높았다. 2015년 60세 이상의 사망률(1000 명당 사망자수)은 24.0명으로 중졸이하(29.2명)가 가장 높았다. 이어 대졸이상(14.8명), 고졸(14.6명) 순으로 낮아졌다.
남자 중졸이하의 사망률은 대졸이상에 비해 30대에는 9.6배, 60세 이상은 2.1배 높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교육수준이 소득을 직접적으로 결정한다고 보기 어렵지만, 어느정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며 "이번 통계가 소외계층이 누구이고, 필요한 지원이 무엇인지를 고민하는 지표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