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행사는 환경부가 주최하고 국립환경과학원이 주관하며, 전국 수질 및 수생태계 조사‧분석 인력 전문성 강화와 전반적인 물환경 관리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유역(지방)환경청,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 등 관계 기관 담당자와 전문가 약 250여명이 참석한다.
현재 정부와 지자체에서 운영 중인 물환경측정망은 전국 하천‧호소 등에 6600여개 지점이 있다. 올해는 경북 안동댐 상류 지역 내에 수질‧퇴적물 측정망 4개, 전북 용담댐에 수생태계 측정망 1개, 전국 각지에 방사성물질 측정망 18개 등이 신설됐다.
또 물환경측정망 측정값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측정망 별로 정도관리 평가결과와 향후 개선 과제를 논의하고, 현장 시료 채취방법과 측정값 입력 시 주의사항 등도 공유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산업폐수 방류수 관리에 기존 ‘화학적 산소요구량(CODMn)’ 지표에서 탄소유기물 함량을 나타내는 총유기탄소(TOC) 지표로 전환하는 방안을 관계 기관과 논의한다.
특별강연에는 차윤경 서울시립대 교수가 ‘고급통계 분석을 통한 물환경측정망 자료의 활용방안’을 발표한다. 물환경측정망 운영에 따라 축적되는 환경 빅데이터의 효율적인 통계 관리와 향후 물환경 관리정책을 소개한다.
김현철 한국환경공단 수질측정망팀 과장은 수질오염 사고 발생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해 운영 중인 전국 70개 자동측정망 정보통신기술(ICT) 접목 사례와 즉각적인 대응 체계를 발표한다.
김경현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평가연구과장은 “이번 워크숍은 전국 물환경 조사‧분석 기관들이 한데 모여 선진적인 물환경 관리로 나아가기 위한 토대를 다지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