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드러진 특징은 중국의 미래에 대한 밑그림을 15년 단위의 비교적 긴 호흡으로 국가적 목표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 눈에 띈다. 2035년까지 내부적인 격차를 지속적으로 해소해 나가면서 사회주의 현대화를 완성하고, 2050년까지는 사회주의 강국, ‘중국몽(中國夢)’을 실현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중국이 다시 세계의 중심, 즉 패권국가로 부상하는 시기를 늦추고 있는 것은 현실을 최대한 반영한 결과라고 평가된다. 이를 좀 더 세밀하게 분석해 보면 2035년까지 내부의 여러 모순과 갈등을 극복하고 중국식 사회주의 체제를 마무리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리고 2050년에는 명실공히 미국을 넘어서는 팍스차이나 시대를 열어 중국(인)의 꿈을 완결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혹자는 이를 두고 시진핑 체제가 2035년까지 지속될 것이라는 섣부른 전망을 내놓고 있기도 하지만 이는 여전히 가능성이다. 지난 5년간의 시진핑 체제는 중국이 미래에 어떤 국가를 지향하고 있고, 이를 위해 어떤 노선을 걸어갈 것인지에 대한 방향타를 분명하게 제시하였다. 이번 당대회에서는 중국의 리더십 혹은 엘리트들이 현 시점에서 미래에 대해 어떤 고민을 하고 있는 지를 가감없이 보여준다.
자타가 인정하듯 대외적으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 바로 ‘일대일로(一帶一路, Belt & Road)'라는 메가 프로젝트이다. 아시아와 유럽, 그리고 아프리카 3개의 대륙에서 49개국이 참여하고 있을 정도이다. 2013년부터 중국의 시진핑 정권이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대외 플랜으로 이는 중국의 미래 운명과 직결되어 있기도 하다. 중국이 미국과‘신형 대국관계’를 유지해 나가면서 궁극적으로 미국을 뛰어넘는 플랜이 여기서 비롯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08년 미국발(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경제의 주도권을 검어쥐기 위해 중국이 내놓은 야심찬 프로젝트이기도 하다. 중국의 리더십과 이를 백업하고 있는 ‘차이나 머니(China Money)'가 동력원이다. 이를 통해 그들이 강점을 갖고 있는 철도, 발전소, 통신, 항만 각종 인프라에 중국이 그 중심에 서겠다는 전략이다. 아시아나 유럽의 상당수 국가들이 이에 쌍수를 들고 환영하고 나온 것은 중국의 자금으로 자국의 낙후된 인프라를 확충하겠다는 저의가 내포되어 있다. 중국과 일대일로 참여 국가들의 복잡한 계산법이 이면에 깔려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 진출 국가와의 이익 공유 등 쌍방향적으로 접근하면 우리에게도 기회 충분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궁극적으로는 중국이 진출 국가의 실질적 이익을 고려하지 않고 자국의 이익만을 고집하고 있는 것이 결정적 원인이다. 말만 무성하다가 실질적인 계약 단계에 들어가면 이해 관계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연기되거나, 흐지부지하게 되는 것이다. 중국의 자금 사정이 과거와 같지 않다는 것도 이러한 사태를 부추기고 있다. 중남미나 아프리카에서 상당한 중국 자금이 투입되었으나, 결국 중국 기업의 배만 불려주게 되어 이들의 원성을 듣고 있는 것도 이기적인 행태와 무관치 않다. 과거 일본이 후발개도국에게 ODA(공적개발원조)를 제공하면서 자국 기업이 이익을 독식해 가는 구조와 거의 흡사하다. 이는 이들보다 자금력이 열악한 우리들에게 많은 것을 시사해준다. 결국은 진출 국가와의 이익 공유, 기술 이전, 사후 관리 등에서 일방적이지 않고 쌍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고속철, 원전은 물론이고 각종 인프라에서 우리에게도 기회가 열려 있다. 시진핑 2기의 출범이 화려하게 시작하고 있지만 중국도 걱정과 고민도 많다. 사회주의와 시장경제를 통하 내부 융합, 일대일로를 통한 대외 위상 강화 등 어느 하나도 만만치가 않다. 일대일로 프로젝트의 지연이나 후퇴는 중국에게 치명적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