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고양시제공]
이에 따라 보건소는 방역기동반을 편성했다. 관내 공동주택 지하시설 및 집수정 등 위생 해충 서식지를 대상으로 친환경 약제를 사용한 유충구제를 시행하고 방역 취약지를 조사해 여름철 모기 감소 등 감염병 발생원을 사전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모기 유충 구제 방제 중요성을 건물관리자들이 알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해충구제 안내문을 발송하고 모기 유충 서식지 신고센터를 운영한다. 모기 유충 서식지 신고가 들어오면 방역팀이 신속하게 출동해 방제를 실시할 계획이다.
모기 유충이 서식하기 좋은 따뜻한 지하실과 정화조 및 하수구 등에 유충구제를 하면 유충 1마리를 잡아 여름철 모기 500마리 이상을 방제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보건소 관계자는 “이번 방역 활동 기간 모기 유충 및 성충 서식 여부, 유충의 발생빈도, 주요 취약지 등 원인을 분석해 체계적인 방역사업을 전개하여 시민건강 증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