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금융감독원이 동남아시아 지역에 진출한 금융회사의 자금세탁 방지 체계 구축 등 리스크 관리 강화를 주문했다. 시장 확대도 중요하지만 리스크 관리의 필요성을 잊으면 안 된다는 판단에서다.
금감원은 22일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동남아 진출 전략 간담회를 개최해 금융사들의 해외 진출 관련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성공적인 동남아 진출 사례를 공유했다.
금감원이 은행, 증권, 보험 등 권역별 담당자를 대상으로 해외진출 관련 간담회를 한 적은 있지만, 금융회사를 한데 모아 동남아 지역에 대해 의견 교환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금감원은 국내 금융사들이 지속해서 동남아시아 시장을 집중적으로 공략하면서 해당 금융사들에 대한 리스크 관리 필요성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유광열 금감원 수석부원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동남아 지역 해외점포의 성공적인 진출과 정착을 위해 금융회사들이 해외 현지의 금융사고 예방 체계를 강화하고 해외 법규를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며 "특히 자금세탁방지와 관련한 국제적인 규제 강화 흐름에 맞춰 본사가 해외점포의 자금세탁 방지 체계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점포는 지난 6월 말 기준 총 435개에 달하며, 이 가운데 중국과 베트남 등 아시아 지역의 점포는 303개(69.7%)에 이른다.
국내 금융사의 해외 진출이 늘어나면서 해외점포의 부실화 우려도 점차 커지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은행부문 고정이하여신비율은 베트남 1.5%, 인도네시아 1.1%, 중국 1.1% 등으로 해외점포 평균(0.9%)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한편, 이날 참석자들은 베트남·인도 금융시장 진출 사례를 소개하면서 해당국의 인허가나 애로·건의사항을 공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