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1/24/20190124140044664498.jpg)
[이미지=한국감정원]
24일 한국감정원이 집계한 '2019년 1월 3주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보다 0.11% 하락하며 11주연속 하락행진을 이어갔다. 하락폭은 지난 2013년 8월이후 최대폭이다.
전국 아파트값은 매매가 0.08% 하락했고 전세는 0.09% 떨어졌다.
수도권(-0.06%→-0.07%) 및 서울(-0.09%→-0.11%)은 마이너스 성장 확대, 지방(-0.08%→-0.09%)도 하락폭이 커졌다(5대 광역시 -0.04%→-0.04%)다.
서울은 대출규제, 금리인상, 거래량 감소, 전세시장 안정 등 하방 압력으로 모든 구의 아파트값이 하락했다. 강북에서 종로구는 거래가 급감하며 하락 전환됐다. 마포·성동·용산·노원구는 매물 누적 등으로, 그리고 서대문·은평구는 신규 입주 영향으로 떨어졌다.
강남구는 단지별로 계단식 하락 추세 지속되는 가운데 금천구(-0.03%)는 하락 전환됐다. 영등포구(-0.13%)의 경우 하락폭이 갈수록 커졌다. 인천에서 부평구(+0.04%)는 저평가된 역세권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 계양구(+0.04%)는 개발 기대감(3기 신도시) 등으로 상승 전환됐다.
연수구(-0.12%), 중구(-0.10%), 서구(-0.08%)등은 신규 공급 증가로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서울의 매매 추가 하락을 우려한 시장 참여자들의 전세 전환 및 계절적 수요 등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수요 증가량 보다 공급 증가량(임대주택 및 신규 입주물량)이 많다고 원인을 판단했다.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 대비 하락폭이 확대됐다. 지역별로 수도권은 전세가격이 전주보다 0.11%하락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하락폭이 0.12%에서 0.14%로 확대됐고 지방도 전세가격 하락폭이 0.06%에서 0.07%로 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