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3/03/20190303181646726655.jpg)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진=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제2차 북·미 정상회담 승부수에도 '빈손'으로 베트남 일정을 마치고 지난 2일 귀국길에 올랐다.
하노이 회담의 '환상 영화'는 현실화하지 않았지만, 김 위원장은 막판까지 베트남과의 교류 정상화 일정을 소화, '제3차 핵담판의 안전판'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새로운 길'과 '제3차 북·미 정상회담'의 갈림길에 선 김 위원장의 다음 수에 전 세계의 시선이 쏠린다. <관련 기사 3·4면>
김 위원장의 전용 열차는 이날 베트남 동당역을 출발해 중국 광시(廣西)장족자치구 핑샹(憑祥)과 난닝을 거쳐 3일 오전 9시께(현지시간) 후난(湖南)성 창사(長沙)를 통과했다.
김 위원장이 중국 경제 시찰차 광저우(廣州)로 향할 가능성도 제기됐지만, 북한에서 베트남으로 갈 때와 동일한 노선으로 북상한 것이다. 김 위원장이 이 노선을 따라가면 베이징(北京)은 경유하지 않는다. 이 경우 김 위원장은 4일 저녁이나 5일 새벽께 압록강을 건널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경제·과학기술·국방·체육문화예술·출판보도 부문 등 모든 분야에서 새로운 높은 단계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북한 최고지도자가 베트남을 방문한 것은 1964년 김일성 당시 국가주석 방문 이후 55년 만의 일이다.
북한이 하노이 회담을 앞두고 베트남의 '도이머이(쇄신)' 띄우기에 나섰다는 점을 감안하면, 북·미 교착 속에서도 베트남과의 '전면적 밀월관계 복원'을 제3차 핵담판의 지렛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오영일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공산당 주도의 점진적 개혁을 추구했던 베트남 모델은 국제금융기구의 자금 지원 조건을 수용했다는 점에서 공산당의 철저한 점진주의 개혁·개방 모델인 중국과 구소련의 급진적 빅뱅 모델과는 차이를 보인다"고 말했다. 북한이 도이머이 정책을 부분적으로 수용할 경우 '외국 자본 유입'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문재인 대통령의 중재역도 커질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4일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개최하고 포스트 하노이 논의를 본격화한다. 한·미 북핵 수석 대표도 이번 주 회동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서울 남북 정상회담 개최를 교착된 북·미 관계를 타개할 카드로 꼽는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연구기획본부장은 "우리 정부가 판문점 또는 제3국에서 남북과 미국 등 당사국 간의 정상회담을 개최할 수 있도록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