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해상 작전 실증에서는 U+스마트드론을 통한 △해상 상황 실시간 대응 △해안 수색 정찰 △고속 침투 상황 대응 △건물 내부 수색 △주둔지 경계 △봉쇄선 내 공중 수색 등을 선보이며 다양한 드론 활용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해상 상황 실시간 대응 시연에서는 드론을 통해 미상선박을 수색·발견하고 열화상 카메라로 선박 내 인원을 확인했으며 이후 드론에 장착된 VoLTE 스피커로 직접 경고 방송을 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이후 선박이 도주하자 300m 가량을 드론으로 추적해 여수 해경이 선박을 진압할 수 있도록 작전 공조를 펼쳤다.
현장에서 약 120km 떨어진 전남 광주 31사단 사령부에서는 U+스마트드론의 관제 시스템을 통해 작전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도 했다.
또한 사전 시연에서는 드론이 건물 내부를 수색하고 주둔지를 경계하는 역할도 수행했다. 건물 내부 수색에서는 미상의 폭발물을 확인하는 상황으로 연출돼 인력을 대체할 수 있는 드론의 활용도가 강조됐다.
소영민 31사단장은 "육군 드론봇 전투체계 전투실험 임무를 부여 받아 지난해부터 민·관·군·경이 함께 공감대를 형성해왔다"며 "앞으로도 드론이 범용전력으로써 국가안보 수호의 한 축을 담당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사단과 각 유관기관이 힘과 지혜를 모아가겠다"고 말했다.
서재용 LG유플러스 기업5G사업담당 서재용 상무는 "5G 기반의 U+스마트드론은 고용량 이미지를 고속 촬영하고 실시간 전송해 긴급 상황에도 즉시 대응이 가능해진다"며 "향후 관제 시스템에 인공지능(AI)·빅데이터를 접목하고 민·관·군 협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드론의 활용도를 넓혀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4/17/20190417092109967532.jpg)
[사진=LG유플러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