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Flickr]
◆국내 돼지고기값 한 달 새 14% '껑충'
26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전날 기준 국산 돼지고기(삼겹살)의 100g당 소매가격은 1980원으로 한 달 전(1730원)보다 14.5% 올랐다.
1년 전(1791원)과 비교하면 11%, 평년(1935원)에 비하면 2.3% 높은 수준이다.
중국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지난해 8월 북부 랴오닝(遼寧)성의 한 농가에서 처음 발병한 후 9개월도 못 돼 국내 31개 성·직할시·자치구로 모두 퍼진 것으로 전해졌다.
전 세계 최대 돼지고기 생산국이자 소비국인 중국의 공급과 수요에 문제가 생기면서 국내 돼지고기 가격에도 물리적·심리적 영향을 끼친 것이다. 미국 투자회사 인터내셔널 FC스톤에 따르면 중국은 세계 돼지고기 소비의 49%를 차지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돼지고기값은 '제값 찾기'보다 추가 상승 가능성이 더 높게 점쳐진다. 중국의 아프리카돼지열병 여파가 쉽게 사그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여서다.
중국 정부가 돼지열병의 확산을 막고자 올해 살처분한 돼지 수도 이미 100만 마리를 넘어섰다. 이 때문에 중국 돈육 생산량은 올해 1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이 수가 2억마리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조미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아프리카돼지열병에 의해 올해 중국의 돼지 생산 두수는 약 20%, 전 세계 돼지고기는 4.1% 줄어들 전망"이라며 "전 세계 돼지고기 수급 불균형으로 돼지고기 가격이 전반적으로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진=베트남비즈]
돼지고기값이 오르자 관련 주도 뜀박질을 시작했다.
실제 축산업을 하는 우리손에프앤지의 경우 이달 들어 전날까지 2360원에서 2935원으로 주가가 24% 넘게 뛰었다.
우리손에프의 최대주주이자 육류가공 유통을 하는 이지바이오도 같은 기간 주가가 6880원에서 8040원으로 17% 가까이 상승했다.
육가공과 사료 사업을 하는 팜스토리도 이 기간 주가가 22% 가까이 올랐고, 팜스코(11%), 하림(13%), 선진(10%) 등 돈육 관련주로 꼽히는 종목들이 나란히 오름세를 탔다.
구현지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국내 돈육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이라며 이지바이오와 우리손에프앤지를 수혜주로 꼽았다.
조미진 연구원은 "돼지고기뿐만 아니라 축산업 전반적으로 가격이 오를 수 있다"며 "관련 업체 중 CJ제일제당과 이지바이오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