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팀은 “서울대병원에서 수술한 비소세포 폐암 환자 80명의 암 조직을 이용해 암면역 미세 환경을 분석했다”며 “그 결과, 암세포는 종양에서 특정 물질을 분비해 면역세포 분포를 변화시키면서 스스로 유리하게 암 미세 환경을 바꾸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폐암세포는 인터루킨-23을 분비해 선천성 림프구 세포의 아형 분포 변화를 유도하는데, 이로 인해 증가된 아형 선천성 림프구 세포는 인터루킨-17을 분비해 종양 성장을 촉진했다.
쉽게 말해 비소세포 폐암 암세포가 분비하는 인터루킨-23이 종양 내에 존재하는 선천성 림프구 세포의 아형1을 아형3으로 변화시킨다. 이 때 증가된 아형3에 분비하는 인터루킨-17가 폐암 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이다.

폐 종양에서 암세포가 인터루킨-23을 분비→선천성림프세포가 아형1에서 아형3로 바뀜→변형된 아형3는 인터루킨-17을 분비→이것이 다시 폐에 암세포를 성장시킴 [사진=서울대병원 제공]
폐암은 유병률이 높고 예후가 불량한 종양이다. 최근 면역요법이 폐암 환자의 생존을 증가시켜 이에 관한 암면역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양 내에는 암세포와 면역세포의 상호 작용이 종양 생존에 영향을 준다. 때문에 종양 미세 환경에 대한 이해가 면역치료법 개발에 필수적이다.
비교적 최근 발견된 선천성 림프구 세포는 항원 특이성이 없는 면역세포로, 천식 등 염증성 질환에서의 기능은 많이 알려졌으나 종양에서의 역할은 정립되지 않았다.
정두현 교수는 “이번 연구로 암세포와 면역세포 간 상호 작용이 폐암의 성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밝혀냈다”며 “폐암 환자 치료의 새로운 타겟을 제시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임상 암 연구(Clinical Cancer Research)’ 최신호 온라인에 발표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