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는 18일 국무회의에서 '열수송관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지난해 12월부터 20년 이상 장기사용 열수송관을 보유하고 있는 7개 지역난방 사업자와 함께 1107㎞ 구간에 달하는 전지역을 대상으로 정밀진단을 실시했다.
열화상 카메라 등을 이용한 긴급점검에서는 수송관 주변과 지열의 차이가 3도 이상으로 측정돼 이상징후를 보인 194곳을 굴착해 실제 누수·부식 등이 진행된 40곳을 보수·교체했다. 이 작업이 이뤄진 수송관의 길이는 대부분 1∼2m였다.
이와 별도로 백석역 파열사고 원인으로 지목된 '용접 불량'과 관련, 사고 수송관과 같은 구식 공법으로 이뤄진 용접부 덮개지점을 전부 보강하거나 교체하기로 해 622곳은 작업을 마무리했다.
나머지 76곳은 다리 밑이나 사거리 한가운데 등 난공사 구간으로 연말까지 완료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향후 대책과 관련, 우선 법 개정으로 열수송관의 안전관리기준을 마련하는 한편 지역난방 열공급사업을 수행하는 37개 사업자의 안전관리규정을 통일해 안전책임을 부여할 계획이다.
열수송관에 대한 사업자의 자체검사 외에 에너지공단의 현장확인 검사 등 이중점검체계를 실시하고, 열수송관의 검사·관리·보수 이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할 계획이다.
사고 발생 시 빠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표준매뉴얼을 제정하고 안전관리 인력 교육도 강화한다.
산업부는 이밖에 하절기 집중보수(6∼8월), 동절기 대비 특별점검(9∼10월) 등을 거쳐 열수송관을 지속적으로 안전하게 관리할 예정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6/18/20190618121930651902.jpg)
황창화 한국지역난방공사 사장(가운데)이 20년 이상 사용된 노후 열수송관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한국지역난방공사]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