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지난 1분기에 발생한 하자보수충당금 환입 효과가 사라지고, 해양플랜트부문 실적 부진이 이어지며 적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회사별로 현대중공업지주는 2분기 연결기준 매출 6조8237억원, 영업이익 2019억원을 기록했다. 전분기(매출 6조4915억원, 영업이익 1445억원) 대비 매출은 5.1%, 영업이익은 39.7% 증가했다. 반면 전년 동기(6조9354억원, 3413억원) 대비로는 매출과 영업익이 각각 -1.6%, -40.8%로 감소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평균유가 상승에 따른 현대오일뱅크의 매출증가, 현대글로벌서비스의 기술서비스 매출확대 등 주요 자회사 매출이 증가한 영향이 컸다. 영업이익은 정유부문에서 정제마진 상승에 따른 이익개선 및 환율상승에 따른 환율효과로 흑자를 유지했다. 현대글로벌서비스도 수익성이 높은 친환경선박개조 등 기술서비스 매출 증가로 이익이 늘어나며 실적개선에 힘을 실었다.
현대중공업그룹 관계자는 “조선부문의 경우 지난 상반기 미중 무역분쟁 등의 영향으로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며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이 예상보다 크게 저조했다”며 “하반기에는 LNG선 대형 프로젝트가 예정돼 있어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주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Clarkson Research)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 세계 신규 선박발주량은 1026만톤(CGT)로 전년 동기(1779만1000톤) 대비 42.3% 감소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7/25/20190725151918922880.jpg)
[사진=현대중공업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