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동군청 청사 내 회의실에서 윤상기 군수 주제로 스마트행정을 위한 시책발굴토론회를 개최하고 있다.[하동군 제공]
경남 하동군에서 AI(인공지능)·IoT(사물인터넷)를 활용한 스마트 행정시대가 열린다.
하동군은 29일 군청 대회의실에서 전 국·과·소장과 담당, 읍면장 등 간부공무원이 참석한 가운데 ‘스마트 군정 추진을 위한 시책 발굴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윤상기 군수가 주재한 이날 참가자들은 전 부서가 자체 발굴한 36건의 스마트 시책에 대한 설명을 들은 뒤 심도있는 토론을 벌였다.
시책 가운데 관내 5개 관광지에 실시간 관광객 이동정보 빅데이터 수집·분석시스템을 구축해 1년 365일 이들 관광지의 관광객 이동경로 등을 파악해 관광객·교통량 등을 분석·행정업무에 활용하는 방안이 가장 관심을 끌었다.
군청 홈페이지에 지능형 AI검색 시스템을 구축해 홈페이지의 정보 검색 편의성을 높이고 정보 소외계층에 대한 정보 접근성을 강화하는 방안도 소개됐다. 이와 함께 65세 이상 독거노인의 고독사나 응급상황에 신속 대처할 수 있도록 IOT를 활용한 스마트4.0 안전지키미 시스템 구축 방안도 참가자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하동군은 벚꽃·녹차·재첩·단풍 등 계절이 지나면 느낄 수 없는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관광자원을 3D시뮬레이션을 통해 가상 체험할 수 있는 3D기반의 버추얼 관광하동 시스템을 구축, 운영키로 했다.
기존의 무인계수기를 활용한 단순 방문객 통계자료 수집을 극복하고자 방문객의 체류시간이나 인근 지자체간 관광객 이동 패턴 분석을 통해 관광객 방문객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관광객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도 구축하기로 했다.
천연기념물 제445호 하동송림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IOT를 기반으로 한 소나무 보호시스템을 구축하고, 천년차밭에 스마트 자동 관수시설을 설치키로 했다. 청소년들이 많이 찾는 지리산생태과학관과 야생차박물관에도 인공지능 로봇을 활용한 안내시스템이 도입된다.
이 밖에 △주요 관광지 VR체험 프로그램 개발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스마트 축산농장 모델 구축 △IOT 접목한 로컬푸드 활성화시스템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 농업 확대 등 군정 전반에 걸쳐 스마트 행정이 앞으로 펼쳐질 것으로 기대된다.
윤상기 군수는 “스마트 정책은 신속·정확한 행정 추진은 물론 주민편의·예산절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율성을 기할 수 있는 만큼 당장 시행 가능한 시책은 예산을 조기 확보해 군정에 접목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