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는 소재·부품·장비 제조 중소기업 1002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일본 수출규제 따른 기술개발 관련 애로 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대·중소기업 간 구매 조건부 기술개발 협업체계 구축을 목표로 국내 중소기업의 기술 수준 파악을 위해 실시됐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 기업의 50.7%는 소재·부품·장비 국산화를 위해 현재 제품 개발까지 이르렀다고 답했다. 제품 개발을 하는 업체 중 66.9%는 기술 개발을, 28.7%는 개발 완료 후 성능시험과 판로개척을 추진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국산화를 시도하는 제품의 경쟁 국가는 미국이 131개사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일본 116개사, 독일 79개사, 국내 기업 51개사, 중국 31개사의 순이었다.
경쟁기업 제품의 기술 수준을 100으로 했을 때 응답 기업이 판단한 자사의 기술 구현 수준은 평균 89.0%였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9/25/20190925102523395890.jpg)
[자료=중소기업중앙회]
기술개발 완료 후 납품처에 대해서는 79.6%가 납품 관련 협의가 완료됐거나 협의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20.3%는 판로가 불분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의 주요 납품(판매)처는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73.7%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는 ‘국내 대기업’(41.1%), ‘수출’(19.2%), ‘정부/지자체/공공기관’(7.9%)순으로 조사됐다.
납품처 발굴 시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성능·내구성에 대한 신뢰성 확보'가 23.4%로 가장 많았다. 이에대해 정욱조 중소기업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중소기업이 시제품 제작 완료 후 사업화 단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정 본부장은 "일본 수출규제 이후 피해가 예상되는 부품·소재·장비 중소기업들의 기술개발 및 판로확대를 위한 대책을 강구하기 위해 조사를 실시했다"며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핵심기술의 국산화를 통해 우수한 기술을 가진 중소기업의 판로를 확대하고 수요기업들도 제품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상생협력의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도록 노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