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혁 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공공미디어의 핵심축인 지상파의 재정난과 영향력 감소로 인해 미디어 전반의 공공성이 약화될 우려가 있어 정부와 사업자가 함께 대응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 먼저 지상파 스스로가 과감한 경영혁신과 체질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하며 다만, 국민이 기대하는 공적책임과 역할에는 소홀함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특히 누구나 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지상파가 정확한 사실확인을 바탕으로 공정하게 보도하고 미디어 비평 등 저널리즘 기능을 복원해 본연의 공적 가치와 국민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핵심 한류 콘텐츠이자 국가의 미래 먹거리인 방송 콘텐츠 산업진흥을 위해 현재 분산되어 있는 방송·통신 정책기능의 통합과 보완이 시급함을 강조했다.
한 위원장은 방통위도 미디어산업 생태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전체 방송사업자가 글로벌 경쟁상황 대응해 나갈 수 있도록 정책적, 제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비대칭 규제를 개선하고 효율적인 정책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노력하는 한편 방송·통신융합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한 제도도 마련할 계획임을 밝혔다.
아울러 지난 4월 재난방송 개선대책 수립 이후, 최근 재난상황에서 지상파가 충실한 재난매체로 역할해준 것을 평가하며 국민안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을 주문했다. 방송현장에서의 주52시간 안착, 11월부터 시행되는 외주제작 가이드라인의 엄정한 이행 등도 당부했다.
앞으로도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통신 사업자와의 지속적인 만남을 통해 업계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정책에 반영해 나갈 계획이다.

한상혁 방통위원장(오른쪽)과 지상파3사 사장간 정책간담회가 진행되고 있는 모습.[사진= 방통위]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