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보 한·미 방위비분담협상대사가 2일 제11차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연내 타결에 대해 "협상 진행에 따라서 조금 달라질 수도 있다는 점은 유념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대사는 이날 한·미 방위비분담금 협상 4차 회의 참석 차 미국 워싱턴D.C.로 출국하기 직전 '연내 타결이 사실상 어렵지 않느냐는 이야기가 있다'는 취재진의 지적에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원칙적으로는 연말까지 협상 타결을 위해 노력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정 대사와 제임스 드하트 미국 국무부 선임보좌관이 각각 지휘하는 한·미 대표단은 3~4일(현지시간) 이틀간 워싱턴D.C.에서 제11차 협정 4번째 회의를 진행한다.
미국 측은 한국이 부담하는 분담금의 대폭 증액이 불가피하다고 압박하는 반면, 한국은 현행 SMA 틀이 유지되는 수준에서 합리적이고 공평한 분담이 이뤄져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02/20191202102709189070.jpg)
정은보 한·미 방위비분담협상대사가 2일 오전 미국 워싱턴D.C.에서 개최되는 제11차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체결을 위한 4차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출국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앞서 지난달 18∼19일 서울에서 3차 회의가 열렸지만, 미국 대표단의 일방적인 이석으로 파행된 바 있다.
이와 관련, 정 대사는 "어떤 경우에도 한·미가 서로 수용 가능한 부담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지난번 미측이 먼저 자리를 떴지만, 어떤 경우에도 우리는 한·미동맹 강화와 연합방위 능력 강화를 위해 노력해가는 협상이 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실무적으로는 연내 한 번 더 협상이 진행될 거로 예상한다"고 부연했다.
다만 한국 측이 수용 가능한 인상률 상한선 등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침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