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의정부시가 주최한 이번 포럼에 참석한 한국과 중국 전문가들은 동북아 평화·번영을 위해 양국이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함께 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04/20191204165732198432.jpg)
이창형 한국국방연구원 국제전략연구실 국방전문연구위원이 '한반도 비핵평화체제를 위한 한·중 협력 방향'에 대한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사진=임봉재 기자]
◆ “북한 비핵화 궤도 이탈하지 않도록 설득해야”
이창형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전문연구위원은 한반도 비핵평화체제와 관련해 “북한이 비핵화 궤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설득해야 한다”며 중국이 적극적인 협력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이 위원은 “중국은 중개자(mediator) 역할을 위해 한국과 협력해야 할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어 “북미 비핵화협상이 진전되고, 북한이 비핵화 조치를 전향적으로 취해 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가 되돌릴 수 없는 단계로 진전되도록 한국과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위원은 또 김정은 위원장이 핵포기 대가로 요구하는 북한체제 안정보장, 경제발전 환경 조성과 관련해 “중국은 미국과 한국, 국제사회와 긴밀히 대화하고, 협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위원은 “미중 간 전략적 경쟁구도와 미국의 대중포위 및 견제전략에 대응하고자 한반도 문제에 접근하지 않아야 한다”며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 중국 전략대화를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위원은 “북·중 관계를 동맹 수준으로 격상하고, 북·중 또는 북·중·러 군사안보협력을 확대해 한·미·일의 남방삼각과 북·중·러의 북방삼각이 대치하는 상황을 조성하지 말아야 한다”며 우려했다.
이 위원은 한반도 비핵평화체제를 구실로 “한미연합훈련 중단, 미 전략자산 전개 및 배치 중지, 유엔군사령부(UNC) 해체 등 한미동맹을 약화시키는 시도를 자제해야 한다”며 “비핵화협상 진전 시에도 사드 문제와 연관하려는 시도를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반도 비핵평화체제를 위한 한·중 협력방안과 관련, 이 위원은 “양국 간 소통 채널을 구축하고, 활성화해야 한다”면서 “한·중 외교안보 고위전략대화 등 사드로 중단된 소통 채널이 우선 복구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 위원은 남북미중 4개국 싱크탱크가 모여 한반도 비핵평화체제를 논의하는 방안도 해법으로 제시했다.
이 위원은 “한국이 촉진자 역할을 하고, 중국이 중개·지원하는 선순환 관계를 만들었을 때 한반도와 그 주변 지역에 평화와 번영의 길이 쉽게 열릴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04/20191204165824357655.jpg)
왕충(王沖) 중국 차하얼학회 고급연구원이 '중·일·한 일체화의 기회와 시련'이란 주제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임봉재 기자]
◆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체제에서 협력 바람직”
왕충(王沖) 중국 차하얼학회 고급연구원은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체제에서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왕 연구원은 “한·중 관계를 뒷받침하는 거시적 전략이자 동아시아 전체가 공동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방법”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왕 연구원은 “한·중·일을 포함한 아세안+3 협력모델을 마련해야 한다”며 “아세안+3 국가가 협력하면 각종 갈등이 해결돼 평화로운 동아시아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한·중·일 FTA 체재는 16억명, 20조 위안 규모의 세계 3대 경제 체재가 될 것"이라며 "세계에서도 가장 역동적인 동아시아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왕 연구원은 “한국과 중국은 역사적으로 일본을 바라보는 비슷한 정서를 갖고 있다”며 “독일과 프랑스, 영국을 중심으로 EU를 결성했던 점에서 보면 한·중·일도 서로 간의 협의 여지가 있다”고 진단했다.
왕 연구원은 “한·중·일 FTA 체재에서 미국의 요인을 뺄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하다"면서도 "미국의 정책을 볼 때 한·중·일의 안정적인 관계를 좋게 생각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왕 연구원은 "중국의 외교부는 미래를 향해 나가려 한다"며 "역사의 문제는 장지적이고 원칙적으로, 하지만 유연하게 해결해 나가려 한다"고 했다.
이어 "정치, 경제, 군사 문제에 있어서도 유연한 태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왕 연구원은 "공공외교는 국가 간에 풀지 못하는 창구"라며 "비정부, 국민 간의 교류를 통해 서로의 이해를 증진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왕 연구원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협력 확대와 관련, “FTA 2차 협상을 가속화하고, 무역과 과학기술 등 분야의 협력을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중국은 다자 협력을 심화시켜 더 많은 국가와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을 것”이라며 “한·중·일 FTA 추진도 속도를 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