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정책 합리화를 추구하는 교수 협의회(에교협)' 공동 대표인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명예교수는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기초 과학이 튼튼한 영국이 원전 기술을 잃어버리는 데 30년이 걸렸는데 추격형 기술로 성공한 우리는 기술을 상실하는 시간이 더 짧을 것"이라면서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비판했다.
1986년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전 사고 이후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영국을 비롯해 여러 유럽 국가들이 원전을 포기했다. 대신 태양광, 풍력 등에 투자를 확대했다. 하지만 비용은 많이 드는데 에너지 효율은 떨어졌다. 전력 시스템이 불안정해지면서 화력 발전을 통해 전기를 공급하는 일이 많아졌다. 그러다 보니 온실가스 문제가 불거졌다. 결국 영국은 탈원전을 포기하고 원전을 다시 짓기로 했다.
이덕환 교수는 "원전의 원조였던 영국이 후발 주자인 우리에게 원전을 지어달라고 요청하고 있는 상황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면서 "기술과 인력을 잃어버리고 관련 산업이 무너지고 난 뒤 후회하면 늦는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1982년에 가동을 시작한 월성 1호기의 30년 평균 이용률은 79.5%였다"면서 "초기 건설 비용과 보수 비용을 모두 회수한 상황에서 앞으로 운전하는 것은 모두 순수한 이익인데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주장은 맞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