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0일 대한상공회의소에 열린 제5차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대화에서 섬유패션산업의 위기극복에 관해 업계관계자와 의견을 교환했다.
섬유패션업계는 코로나 여파가 커지면서 글로벌 수요감소와 공급망 가동 중단으로 현재 소비절벽 상황에 직면했다. 특히 섬유패션산업의 특성상 경기에 민감하고 대면소비가 많아 다른 산업보다 코로나로 인한 피해가 크다는 분석이다. 섬유패션업계는 국내외 분업구조를 가지고 있어 국내 위탁제조(OEM) 의류벤더들의 피해도 커지고 있다. 이들은 최근 글로벌 바이어들의 주문취소, 신규주문 급감, 대금결제 지연으로 유동성 위기 등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에 따라 지난 3월, 4월 수출은 전년대비 각각 8.9%, 35.3% 감소했다. 경기 침체에 따라 국내 공장가동률도 하락했으며 고용 감소로 이어지는 분위기다.
이날 성 장관은 코로나로 침체된 섬유패션 경기를 회복을 우선 과제로 삼으며 이후에 재편될 글로벌 섬유패션산업에 대비해 △수요·공급기업간 연대·협력 강화 △구조 고도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지원을 다짐했다.
포스트코로나 국면에 진입하면서 각국의 보호무역중심 무역질서 변화에도 준비가 필요하다. 섬유패션업계는 국내 생산 확대의 선제적 대응을 위해 국내 소재 사용 및 봉제를 통해 섬유패션 완제품 생산을 확대키로 했다. 이를 위해 섬유패션업계의 수요와 공급기업 간 상생협력 협약도 체결한다. 정부는 국내 소재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스마트 봉제공장 구축에 관해 정책적 지원을 펴기로 했다.
마지막으로 섬유패션업계의 구조고도화를 통해 미래 경쟁력 확보에 나선다. 기존 섬유패션 제품이 저부가가치·범용이라는 인식에서 고부가가치·산업용 중심으로 업종을 재편한다. 이를 위해 기업활력법을 활용할 계획이다. 개정된 기업활력법은 과잉공급 업종에 해당하는 기업뿐만 아니라 신산업으로 진출하려는 기업이나 산업위기지역의 기업에도 혜택을 부여한다.
이를 통해 섬유패션업계는 고기능성 의류, 탄소섬유 등 산업용 섬유의 핵심 기술개발에 착수한다. 정부는 업계의 리사이클섬유, 클린팩토리 등 친환경 산업생태계를 구축을 돕는다.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ICT융합 개인맞춤의류, 3D 가상의상 솔루션 등 디지털 전환과 접목된 의류 서비스도 개발토록 한다.
업계에서는 이번 코로나 사태로 촉발된 유동성 위기와 더불어 섬유패션산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
성 장관은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낮은 단가만을 쫓아 해외 생산에 의존하는 글로벌 공급망(GVC)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이번 업체간 상생협약은 패션의류 대기업이 국내 원자재 구매와 생산을 확대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유지하고, 국내 섬유소재와 봉제산업은 안정적인 일감을 확보하는 성장의 출발"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