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장 장마, 농작물 피해 얼마나]① 집중호우에 벼 재배면적 3% 잠기고, 인삼 밭 4% 유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원승일 기자
입력 2020-08-24 08: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벼 피해 약 80% 가장 커, 인삼 밭 587㏊ 침수

  • 농산물 수급 불안에, 정부 비축물량 탄력적 방출

역대 가장 긴 장마로 벼, 인삼 등 주요 농작물이 침수되거나 유실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는 농산물 공급 부족 등 수급 불안에 따른 가격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비축물량을 탄력적으로 방출하기로 했다.

24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이번 집중호우로 침수·유실 또는 매몰 피해를 본 농경지는 2만7932㏊에 달한다. 이중 벼 피해가 약 80%로 가장 컸고, 전체 벼 재배면적의 3%가 침수된 것으로 파악됐다.

587㏊의 인삼 밭(포전)도 이번 호우로 피해를 봤다. 전체 재배면적의 약 4%에 해당한다.

인삼 밭의 상당수가 장시간 침수·유실돼 예정보다 일찍 수확하거나 아예 회복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인삼은 재배 기간이 4∼6년 길어서 농가가 느끼는 피해는 다른 작물보다 클 것으로 예상된다.

또, 축산 부문에서는 한우 400여마리, 돼지 6000여마리, 가금 183만마리가 폐사했다.
 

전남 나주시 다시면의 논에서 자라는 벼가 지난 7~8일 수해를 당한 후 고사해 누렇게 변해가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농작물 피해로 농산물 수급이 불안해지자 정부는 비축해 놓은 물량을 시장에 탄력적으로 풀기로 했다. 농협, 대형마트 등과 협력해 채소류 할인 행사도 추진해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도 덜어주기로 했다.

피해가 큰 인삼은 민관이 함께 계약 물량을 긴급 수매에 나서기로 했다. 조기 수확할 수 없는 비계약 물량은 인삼 자조금, 정부 소비 촉진 마케팅 사업비를 활용해 농가가 가공 후 판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침수 피해가 심각한 밭은 신속히 손해평가와 피해 조사를 완료한 뒤 재해보험금·재난복구비 등을 조기 지급한다.

인삼 자조금 단체와 KGC인삼공사는 호우로 생산량이 감소하거나 수확이 어려운 농가에 다음 달부터 추가적인 피해 복구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어 계속 생육할 수 있는 인삼 포전은 현장기술지원단 운영, 약제 할인 공급, 인력지원 등 생육 관리 강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 밖에 인삼 피해 농가에는 농축산경영자금 이자 감면 및 상환 연기, 특별재난지역 농가 무이자 대출, 농업경영회상자금 저리 융자 등 금융지원을 강화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호우로 피해를 입은 농가가 어려움을 딛고 하루빨리 생업에 복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필요한 인적, 물적 지원을 총동원하겠다"며 "농협경제지주·자조금단체·KGC인삼공사 등 인삼업계와 힘을 합해 마련한 지원대책을 차질없이 신속하게 진행해 인삼 농가의 빠른 재기를 돕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