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주도형' 인도 경제, 더딘 임금 상승률에 경고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조아라 기자
입력 2020-08-27 16:0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소비주도형' 경제 성장 패턴을 보여온 인도가 코로나19 사태로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코로나19 봉쇄령 완화 후 실업률은 안정화 조짐을 보이는 데 반해 임금 상승률은 둔화하고 있어 경제 회복 기대감에 찬물을 뿌리고 있다고 27일(현지시간) 블룸버그가 전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인도는 코로나19 확진자가 1000명 정도였던 지난 3월 말 강한 봉쇄령을 내리면서 바이러스 확산 억제에 초점을 맞췄다. 그러나 계속된 봉쇄령으로 경제가 40여 년 만에 처음으로 역성장할 위험에 빠지자 나렌드라 모디 정부는 봉쇄령을 차츰 완화하기 시작했다.

봉쇄령이 풀리면서 인도의 실업률도 안정을 찾기 시작했다. 지난 4월 23.5%까지 치솟았던 인도 실업률은 7월 7.4%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임금 상승률은 저조한 흐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2019년 회계연도(2019년 4월~2020년 3월) 인도의 평균 임금상승률은 3.6%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8.6%p 떨어진 것이다. 

코로나19 사태로 회사 경영이 쪼그라들자 임금을 대폭 삭감했기 때문이다. 억만장자 무케쉬 암바니의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즈를 비롯해 다부르 인도, 바자지 오토, 마루티 스즈키 인도, 타타 모터스 등 주요 기업들이 직원들의 임금을 삭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파증권의 아미쉬 샤 연구위원은 "임금이 3% 올랐다는 것은 직원 한 명당 임금이 올랐다기보다는 회사에 새로 입사하는 직원들에 의해 평균 임금이 상승한 것이라고 보는 게 맞다"고 설명했다.

전망도 밝지 않다. 딜로이트가 조사한 기업 가운데 23%만 내년에 임금 인상안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임금 상승률이 계속 둔화할 경우 인도 경제는 힘을 못 쓰고 가라앉을 가능성이 크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인도는 국내총생산(GDP)의 60%를 민간 소비가 차지해 전형적인 '소비 주도형' 경제 국가로 꼽히는데, 임금이 줄면 개인 소비가 줄어들어 경제 성장에 제동이 걸릴 수 있어서다. 

앞서 국제통화기금(IMF)은 인도의 올해 GDP가 코로나19 팬데믹 여파로 4.5% 감소할 수 있다는 암울한 전망을 한 바 있다.

HSBC홀딩스의 프란줄 반다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지난달 내놓은 보고서에서 "노동시장 구조를 고려할 때 일자리 대부분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임금은 팬데믹 이전 수준을 되찾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