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일부는 파업 중단 원해···대전협 "사실 무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정석준 기자
입력 2020-08-30 21:4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일부 비대위 구성원 파업 중단 의견 건너뛰고 대표자 회의 열어

  • 대전협, "임기가 끝나거나 본인 신념과 맞지 않아 그만둔 분들"

전국의사 2차 총파업 첫날인 26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성모병원에서 전공의들이 피켓시위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가 파업 잠정 중단 내용이 담긴 합의안을 거부하고 재투표를 거쳐 파업 유지를 발표한 가운데, 일부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원의 ‘파업 중단’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았다는 주장이 나왔다.

30일 전공의 일부와 인턴, 1년 차 레지던트, 3년 차 레지던트 등이라고 소개한 ‘어떤 전공의들’은 보도자료를 통해 “비대위 과반이 타협안대로 국민 건강과 전공의 전체의 이익을 위해 파업을 중단하길 원했다”고 밝혔다.

대전협과 의학교육 및 수련병원 협의체가 합의해 서명한 문서인 타협안에는 대한의사협회(의협) 등 의료계와 정부로 구성된 ‘의‧정 협의체’에서 원점부터 정책을 논의한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어떤 전공의들’은 “비대위의 의견이 무시된 상태에서 일선의 전공의들을 대표하는 임시전국대표자비상대책회의(이하 대표자회의)에서 졸속 의결해 파업을 밀어붙이게 됐다”며 “비대위 다수의 의견을 건너뛰고 대표자 회의를 연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일선의 전공의들은 범의료계 합의안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듣지 못한 채 비공식적으로 유포된 정보 속에서 파업을 강행하자고 주장하는 분위기였다”며 “일선 전공의들은 정부의 업무개시명령 및 고발조치 등으로 궁지에 몰려 '뭉쳐야 한다'는 의식이 과열돼 파업 강행을 밀어붙이는 결정을 내렸다”고 전했다.

이어 “대전협 지도부를 따를 수 없다고 판단한 비대위 다수는 사퇴를 표명했다"며 "이번 결정으로 국민 건강 위협 상황이 더욱 연장됐고, 고발당한 전공의 포함해 전공의 전체도 위험에 빠졌다. 국가고시 거부 및 집단 휴학에 돌입한 의대생들도 구제받을 수 있을지 미지수"라고 덧붙였다.

SNS에서는 전공의 파업 중단을 호소하는 글이 올라와 화제가 됐다.

지난 29일 ‘일하는 전공의’라는 익명 계정은 “환자들이 기다린다. 하루빨리 파업을 멈추어 달라”며 “의료 정책에 있어서 의사들 생각이 중요한 건 맞다. 그렇지만 (전 국민 중 일부인) 13만 의사들의 의견이 정책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것이 옳은가”라고 말했다.

글쓴이는 “'젊은의사 단체행동'이란 이름으로 시작한 행동이 의대생, 전임의, 교수님, 일선 의사 등을 움직여 한목소리를 낸 것은 대단히 고무적인 일”이라면서도 “의사가 의료 정책에 대해 일반 국민보다 더 잘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사회 전체 입장에서 의사 수를 늘릴 때 의사의 의견을 참고하는 것을 넘어 허락이 필요하다는 것에 모두가 동의하지는 않는다”고 지적했다.

한편, 박지현 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은 30일 본인 SNS를 통해 “진행 과정에서 편파됐다는 등 정당성 문제가 제기돼 절차적 정당성을 획득하고자 수정해서 다시 올린 것”이라며 “두 번째로 다시 투표했을 때에는 합의안을 받아들이지 않고 (파업) 유지하겠다는 게 134표로 과반이었다”고 밝히며 파업의 정당성을 설명했다.

또한 비대위원장 사퇴 등은 사실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박 회장은 “저는 사퇴하지 않았으나 일부 집행부 단위 대표는 임기가 끝나거나 본인 신념과 맞지 않아 그만둔 분도 있다”며 “새로운 비대위를 구성해 좋은 소식을 들려줄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