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경기도, 친일청산·항일사업 추진...친일잔재물 안내판 설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수원)김문기 기자
입력 2021-02-25 12:0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도내 항일운동유적지 알리기도 나서

  • 문화예술 일제잔재청산 공모전 진행

경기도 관계자가 수원에 있는 '수원고등농림학교 학생 운동지' 안내판에 태극기를 붙이고 있다. [사진=경기도 제공]


경기도는 '3·1운동' 102주년을 맞아 항일 유적지 알리기와 친일잔재 청산 공모전을 비롯한 친일청산·항일사업을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도는 다음 달 1일 3·1절을 앞두고 항일운동이 이뤄진 유적지 120곳에서 안내판과 주변 환경 청소를 한다. 가평공립보통학교 3·1운동 만세시위지 등 20곳에는 가족자원봉사단 20가족이 '우리 집 가까이 항일운동 유적지 청소하기'에 참여해 청소뿐 아니라 작은 태극기와 감사 마음을 담은 꽃을 놓아둔다.

안내문도 배부해 방문 어린이들에게 치열했던 항일운동을 알린다. '항일운동유적 안내판 분포지도'를 통해 경기도 31개 시·군 곳곳에서 메아리쳤던 항일운동 장소에 관한 정보도 제공한다.

앞으로 항일유적지 1곳과 학생을 연결하는 '1 항일유적지+1학생지킴이' 사업을 진행해 유적 정신을 학생들에게 전파할 방침이다.

앞서 경기도는 도내 항일운동 현장을 알리고자 2018년 안내판 61개와 표지판 20개, 2019년에는 안내판 59개와 표지판 24개를 항일 유적지에 설치했다. 항일 유적지는 1895년 을미의병부터 1945년 광복 때까지 조성된 곳으로, 화성·안성·용인·이천·평택 등에 있다.

올해부터 친일잔재상징물 안내판도 세운다. 지난해 '경기도 친일문화잔재 조사·연구' 용역에서 확인한 도내 친일 인물 기념물 161건에 설치한다. 안내판은 상징물 소개와 함께 기념물이 친일 행적과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를 알려준다.

시범사업 성격으로 10곳 정도를 지정해 연내에 안내판을 설치할 계획이다. 선정위원회를 구성해 대상 기념물과 안내판 내용 등을 정한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경기문화재단과 함께 일제문화 잔재 청산과 애국·항일정신, 독립운동 등을 소재로 한 콘텐츠 개발·활용 사업 공모에도 나선다. 경기도에서 활동하는 문화예술 단체와 예술인 등을 상대로 3월과 6~7월 두 차례 공모를 진행한다.

지난해엔 친일문화잔재 조사연구 용역 결과를 기반으로 일제문화잔재 청산 등을 소재로 한 콘텐츠 개발을 했다. 20개 단체를 선정해 '생활 속 일제잔재, 알아보고 알리고 없애고' 등 20개 사업을 진행했다. 친일문화잔재를 모은 아카이브도 구축했다.

작곡자 친일 행위가 확인된 경기도 노래를 폐지하고, 지난해 12월 31일 송년 제야행사에서 새로운 경기도 노래 '경기도에서 쉬어요'를 공개했다. 작사와 작곡, 심사 전 과정에 도민들이 참여한 곡으로 현재 각종 경기도 주최 행사에서 쓰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항일운동 유적과 친일기념물 안내판, 친일청산 콘텐츠는 모두 선열들의 고귀한 정신을 전파하는 기억 매체"라며 "정신을 지켜나가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