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 지주사 겸 투자전문회사 SK㈜(이하 SK)가 프랑스 유전자·세포 치료제(GCT) CMO(원료의약품위탁생산) 기업인 이포스케시(Yposkesi)사를 인수한다. 이를 통해 첨단 바이오 분야 사업 확장을 가속화하는 한편 높은 성장세가 점쳐지는 CMO 시장 영향력을 넓힐 수 있게 됐다.
31일 SK에 따르면 이 회사는 경영권을 포함한 이포스케시 지분 70% 인수를 마무리했다. 이번 인수를 통해 기존 합성 의약품에 이어 바이오 의약품 CMO 영역을 포함하는 글로벌 CMO 사업 체계를 갖추게 됐다. 미국, 유럽, 아시아 등 글로벌 시장에 혁신 신약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최 회장이 미래 핵심사업으로 육성 중인 바이오산업 분야의 파이낸셜 스토리(Financial Story) 실현도 한 걸음 가까워졌다.
이포스케시는 미국 새크라멘토에 설립된 CMO 통합법인이자 SK 자회사인 SK팜테코를 통해 인수된다. 인수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장동현 SK 사장은 “뛰어난 역량과 잠재력을 지닌 이포스케시 투자를 통해 유망 성장 영역인 유전자치료제 CMO사업에 진출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포스케시가 글로벌 시장에서 빠른 성장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인수는 SK CMO 사업에 있어서 세 번째 글로벌 인수·합병(M&A)이다. SK는 2017년 BMS(Bristol Myers Squibb)사 아일랜드 스워즈 공장, 2018년 미국 앰팩(AMPAC) 인수 등 기업 대상 크로스보더 딜(Cross-border Deal)을 잇따라 성사시킨 바 있다.
SK는 이포스케시 인수를 시작으로 고성장 분야인 바이오 CMO사업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기술 장벽이 높은 혁신 신약 개발·위탁생산 사업에 집중 투자하고 시장 진입이 힘든 고부가가치 바이오 CMO사업으로의 확장을 통해 경쟁사와 차별화한다는 전략이다.
SK팜테코는 이포스케시의 성공적인 상업화를 위해 회사가 보유한 마케팅 네트워크 및 대량 생산·품질 관리 역량을 공유해 시너지를 제고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SK의 투자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설비 확장에 더 힘을 싣게 된 이포스케시는 생산 역량을 2배로 키워 유럽 내 최대 규모의 유전자·세포 치료제 생산 기업으로 올라설 전망이다.
1998년 의약품생산 사업에 진출한 SK그룹은 △2005년 원료의약품 사업 진출 △2015년 SK바이오텍 분사 △2019년 SK팜테코 설립 등을 거치며 CMO사업 영역을 확장해 왔다.
특히 한국(SK바이오텍), 아일랜드(SK바이오텍 아일랜드), 미국(앰팩)의 통합법인으로 설립된 SK팜테코의 2020년 매출은 통합 운영 시너지와 코로나 특수에 힘입어 글로벌 확장 전인 2016년 대비 약 7배 성장한 7000억원을 기록했다. 2~3년 내 1조원 매출 달성이 예상되는 SK팜테코는 2023년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SK팜테코의 바이오 CMO로의 확장은 IPO(기업공개) 과정에서 기업가치를 높이는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동훈 SK 바이오 투자센터장은 “2025년까지 미국과 유럽, 아시아 주요 거점 별로 합성∙바이오 의약품 CMO 사업의 밸류체인을 완성할 것”이라며 “SK팜테코를 전세계 제약시장에 합성과 바이오 혁신 신약을 모두 공급할 수 있는 글로벌 선도 CMO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31일 SK에 따르면 이 회사는 경영권을 포함한 이포스케시 지분 70% 인수를 마무리했다. 이번 인수를 통해 기존 합성 의약품에 이어 바이오 의약품 CMO 영역을 포함하는 글로벌 CMO 사업 체계를 갖추게 됐다. 미국, 유럽, 아시아 등 글로벌 시장에 혁신 신약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최 회장이 미래 핵심사업으로 육성 중인 바이오산업 분야의 파이낸셜 스토리(Financial Story) 실현도 한 걸음 가까워졌다.
이포스케시는 미국 새크라멘토에 설립된 CMO 통합법인이자 SK 자회사인 SK팜테코를 통해 인수된다. 인수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관련기사
이번 인수는 SK CMO 사업에 있어서 세 번째 글로벌 인수·합병(M&A)이다. SK는 2017년 BMS(Bristol Myers Squibb)사 아일랜드 스워즈 공장, 2018년 미국 앰팩(AMPAC) 인수 등 기업 대상 크로스보더 딜(Cross-border Deal)을 잇따라 성사시킨 바 있다.
SK는 이포스케시 인수를 시작으로 고성장 분야인 바이오 CMO사업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기술 장벽이 높은 혁신 신약 개발·위탁생산 사업에 집중 투자하고 시장 진입이 힘든 고부가가치 바이오 CMO사업으로의 확장을 통해 경쟁사와 차별화한다는 전략이다.
SK팜테코는 이포스케시의 성공적인 상업화를 위해 회사가 보유한 마케팅 네트워크 및 대량 생산·품질 관리 역량을 공유해 시너지를 제고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SK의 투자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설비 확장에 더 힘을 싣게 된 이포스케시는 생산 역량을 2배로 키워 유럽 내 최대 규모의 유전자·세포 치료제 생산 기업으로 올라설 전망이다.
1998년 의약품생산 사업에 진출한 SK그룹은 △2005년 원료의약품 사업 진출 △2015년 SK바이오텍 분사 △2019년 SK팜테코 설립 등을 거치며 CMO사업 영역을 확장해 왔다.
특히 한국(SK바이오텍), 아일랜드(SK바이오텍 아일랜드), 미국(앰팩)의 통합법인으로 설립된 SK팜테코의 2020년 매출은 통합 운영 시너지와 코로나 특수에 힘입어 글로벌 확장 전인 2016년 대비 약 7배 성장한 7000억원을 기록했다. 2~3년 내 1조원 매출 달성이 예상되는 SK팜테코는 2023년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SK팜테코의 바이오 CMO로의 확장은 IPO(기업공개) 과정에서 기업가치를 높이는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동훈 SK 바이오 투자센터장은 “2025년까지 미국과 유럽, 아시아 주요 거점 별로 합성∙바이오 의약품 CMO 사업의 밸류체인을 완성할 것”이라며 “SK팜테코를 전세계 제약시장에 합성과 바이오 혁신 신약을 모두 공급할 수 있는 글로벌 선도 CMO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3/31/20210331151005841775.jpg)
최태원 SK그룹 회장. [사진=SK그룹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