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4/02/20210402123521210230.jpg)
신 시장이 2021년도 일자리 대책 세부계획을 살펴보고 있다.[사진=경기 광주시 제공]
신 시장은 먼저 2021년도 일자리대책 세부계획을 공시하고 본격 운영에 나섰다.
먼저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추진에 따라, 고용률 69% 달성, 1만4015개의 일자리 공급을 목표로 ‘2021년 광주시 일자리대책 세부계획’을 수립한 후 시 홈페이지와 고용노동부 지역고용정보 네트워크에 게재했다.
지난 2010년 도입된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는 일자리 문제에 대한 지방자치단체 역할 증대에 따른 지역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자체가 일자리 목표를 수립, 시민들에게 공시하도록 하는 정책이다.
또 2021년에도 취약계층을 위한 생산적·안정적 공공일자리 창출, 계층·맞춤형 직업훈련으로 취업기회 확대 및 구직자 역량강화, 일자리센터, 지역자활센터 등을 통한 양질의 고용서비스 제공 등의 세부계획을 수립했다.
신 시장은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해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4/02/20210402180045261991.jpg)
[사진= 경기 광주시 제공]
이날 나무심기 행사는 시가 광주성남하남산림조합과 산림경영 시범사업을 통해 추진하고 있는 조림 사업지인 회덕동 산74 일대 임야에서 실시했다.
‘미래 100년의 시작, 새 산 새 숲’이라는 주제로 열린 식수 행사에서 참석자들은 광주시 산림의 경제적·공익적 가치 증진 및 저탄소 녹색 성장의 기반 구축을 위해 조림용 묘목 자작나무 300주와 기념식수 목련나무를 식재했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별도의 의례 없이 조림목과 기념식수 식재만 진행하는 등 대폭 축소해 진행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4/02/20210402123753586672.jpg)
광주시가 곤지암 봄 맞이 환경정화 청소활동을 펼쳤다.[사진=경기 광주시 제공]
신 시장은 최근 곤지암읍 이장협의회, 새마을 남·녀 지도자 협의회, 주민자치위원회,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등 7개 단체와 함께 곤지암읍 봄맞이 하천정화활동을 펼쳤다.
이번 정화활동은 곤지암 내 하천변 환경취약지역을 중점적으로 추진했으며 곤지암 관내 단체의 봉사활동으로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특히, 현자섭 시의회 부의장도 현장을 찾아 자발적으로 지역 내 정화활동으로 나서 준 관내 단체 회원들과 함께 정화활동에 동참했다.
한편, 신 시장은 “곤지암 지역의 발전과 상생을 생각해 주시는 모든 단체들에 감사드린다”며 “연대감으로 함께 하는 곤지암읍으로 더욱 발전하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