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4/02/20210402160227797117.jpg)
[사진=연합뉴스]
이는 전 세계적으로 백신 수급 상황이 불안정해지고 있고 국내 코로나19가 다시금 확산세를 보이면서, 1차 접종을 최대한 앞당기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2일 접종 대상자별 백신 종류와 접종 시기 및 방법 등 보완 내용이 담긴 '예방접종 2분기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먼저 방역 당국은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의 접종 간격을 8∼12주 내에서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국산 최소 잔여량 주사기를 통해 백신 폐기량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특히 그간 대학 입시 문제로 우선 접종 필요성이 제기돼 온 고등학교 3학년 학생과 교사에 대해서는 2분기에 화이자 백신 잔여 물량 접종을 진행키로 했다. 구체적 접종 시기는 학사 일정 및 백신 수급 일정을 감안해 결정된다.
노인·장애인 돌봄 종사자 38만4000명의 AZ 백신 접종 시기도 당초 6월에서 이달로 앞당겨졌다. 아울러 의원급 의료기관과 치과·한방 병·의원 및 약국의 보건의료인 38만5000명, 항공 승무원 2만7000명의 접종 시기도 5~6월에서 이달 중순으로 앞당겨졌다.
한편 추진단은 2분기 내 도입이 확정된 백신 물량은 총 769만8500명분(1539만7000회분)이라고 밝혔다. 이 중 화이자사 계별 계약 도입 백신은 314만8500명분, AZ 백신은 455만명분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