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쿨존에서 어린이 보행자를 인식해 운전자에게 경고를 주고 영·유아 질병을 비대면 진단하는 등 인공지능(AI) 개발용 데이터를 가공하는 지원사업 과제 2580개가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품·서비스 개발이 필요한 기업에 바우처 형식의 구매·가공서비스를 지원하는 '2021년 데이터 바우처 지원사업'의 수요기업 최종 선정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올해 데이터바우처 예산 1230억원으로 2580개 기업·기관을 지원(데이터 구매 1200건, 일반가공 480건, AI가공 900건)한다.
선정된 지원과제 중 'AI 어린이 보호 알림이 속도 표출 신호등'이나 '영유아 건강신호등 챗봇 서비스' 등 국민편익이 높은 과제가 포함됐다. 지도 기반으로 전기차 충전정보와 캠핑관련 정보 등을 시각화해 실시간으로 알려 주는 서비스, 혼합현실(MR)을 활용한 디지털 모델하우스, AI 기반 개인맞춤형 패션추천 등 데이터 기반의 혁신 서비스 과제도 구현될 예정이다.
작년에는 AI로 폐기물 색상·오염도를 인식하는 분류시스템 개발이나 AI기반 물류자동화 서비스 기술 고도화 등 과제를 통해 작업속도 향상, 물류비용 절감, 생산성 향상 등 국민·기업이 체감할 수 잇는 성과가 있었다. 이처럼 국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와 다양한 산업의 데이터 활용 저변 확대와 생산성 개선, 신시장 창출에 데이터바우처가 기여하고 있다고 정부는 강조했다.
송경희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데이터 활용 기업에게 맞춤형 데이터와 가공서비스를 제공하고 데이터 판매·가공 기업에게 데이터 상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산업 발전을 견인하고 있다"며 "데이터 상품과 서비스를 다양화하고 전 산업과 사회분야의 디지털 대전환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지원과제 선정 공모는 구매 2207건, 일반가공 1295건, AI가공 2677건으로 총 6179건을 기록해 2.4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수요기업 선정결과 비(非) ICT기업 신청건수가 매년 증가 추세였다. 전체 선정건수 55%를 제조, 유통, 문화, 통신, 교육, 5개 산업이 차지했다. 선정된 수요기업의 지역별 분포를 보면 작년 수도권에서 1472건(72.2%), 비수도권에서 568건(27.8%)이 나왔다. 올해는 수도권이 1724건(66.8%), 비수도권이 856건(33.2%)으로 비수도권 비중이 커졌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데이터바우처 사업 협력 부처를 15개(행안부, 문화부, 국토부, 중기부, 산업부, 농림부, 해수부, 교육부, 환경부,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기상청, 산림청, 금융위, 식약처)로 늘리고 소속 전문기관과 함께 분야별 수요를 발굴했다. 대전, 대구, 부산, 광주, 제주 등 지자체와 협력해 지역기업 수요발굴을 추진함으로써 지역 데이터활용 역량 향상을 꾀했다. 향후 지역거점별 주력사업 연계로 대표성과를 발굴하고 지역 중소기업 참여율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품·서비스 개발이 필요한 기업에 바우처 형식의 구매·가공서비스를 지원하는 '2021년 데이터 바우처 지원사업'의 수요기업 최종 선정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올해 데이터바우처 예산 1230억원으로 2580개 기업·기관을 지원(데이터 구매 1200건, 일반가공 480건, AI가공 900건)한다.
선정된 지원과제 중 'AI 어린이 보호 알림이 속도 표출 신호등'이나 '영유아 건강신호등 챗봇 서비스' 등 국민편익이 높은 과제가 포함됐다. 지도 기반으로 전기차 충전정보와 캠핑관련 정보 등을 시각화해 실시간으로 알려 주는 서비스, 혼합현실(MR)을 활용한 디지털 모델하우스, AI 기반 개인맞춤형 패션추천 등 데이터 기반의 혁신 서비스 과제도 구현될 예정이다.
작년에는 AI로 폐기물 색상·오염도를 인식하는 분류시스템 개발이나 AI기반 물류자동화 서비스 기술 고도화 등 과제를 통해 작업속도 향상, 물류비용 절감, 생산성 향상 등 국민·기업이 체감할 수 잇는 성과가 있었다. 이처럼 국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와 다양한 산업의 데이터 활용 저변 확대와 생산성 개선, 신시장 창출에 데이터바우처가 기여하고 있다고 정부는 강조했다.
올해 지원과제 선정 공모는 구매 2207건, 일반가공 1295건, AI가공 2677건으로 총 6179건을 기록해 2.4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수요기업 선정결과 비(非) ICT기업 신청건수가 매년 증가 추세였다. 전체 선정건수 55%를 제조, 유통, 문화, 통신, 교육, 5개 산업이 차지했다. 선정된 수요기업의 지역별 분포를 보면 작년 수도권에서 1472건(72.2%), 비수도권에서 568건(27.8%)이 나왔다. 올해는 수도권이 1724건(66.8%), 비수도권이 856건(33.2%)으로 비수도권 비중이 커졌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데이터바우처 사업 협력 부처를 15개(행안부, 문화부, 국토부, 중기부, 산업부, 농림부, 해수부, 교육부, 환경부,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기상청, 산림청, 금융위, 식약처)로 늘리고 소속 전문기관과 함께 분야별 수요를 발굴했다. 대전, 대구, 부산, 광주, 제주 등 지자체와 협력해 지역기업 수요발굴을 추진함으로써 지역 데이터활용 역량 향상을 꾀했다. 향후 지역거점별 주력사업 연계로 대표성과를 발굴하고 지역 중소기업 참여율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