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8/13/20210813142112105030.jpg)
한국전력 본사 [사진=연합뉴스]
한국전력이 올해 2분기 7000억원이 넘는 영업손실을 내면서 6분기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한전은 연결기준 올해 2분기 영업손실이 7648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로 인해 한전은 지난해 1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5개 분기 연속 흑자 행진을 멈췄다.
한전의 2분기 매출은 13조51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 늘었다. 순손실은 6739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상반기 기준 영업손실은 193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에는 8204억원의 흑자를 냈다. 상반기 매출은 28조594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 증가했다.
이번에 실적이 악화한 배경은 고유가로 인한 연료비와 전력구매비 상승이 꼽힌다. 이런 상황에서 전기요금은 올리지 못하자 수익성이 낮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상반기 전력판매량은 제조업의 평균가동률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 늘었다. 그러나 연료비 상승분이 전기요금에 반영되지 못하면서 판매단가가 하락해 전기판매수익은 1.0% 증가하는 데 그쳤다.
한전은 올해부터 전기 생산에 들어간 연료비를 3개월 단위로 전기요금에 반영하는 연료비 연동제를 도입했다.
2분기와 3분기 전기요금은 유가 상승세를 반영해 올랐어야 하지만, 정부가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는 국민의 생활 안정 등을 이유로 요금을 동결했다.
특히 지출하는 비용은 이 상황에서 더 늘었다. 상반기 한전 자회사들의 연료비와 한전이 민간 발전사로부터 사들인 전력구입비는 전년 동기 대비 1조2868억원(8.1%) 증가했다.
이는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석탄발전 상한제약 시행과 전력수요 증가 등으로 연료비가 비싼 액화천연가스(LNG) 발전량이 늘어난 탓이다. RPS(신재생에너지 의무이행 비용) 비율이 7%에서 9%로 상향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
발전설비 및 송배전설비 취득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 등으로 기타 영업비용 역시 1553억원 증가했다.
한전은 "향후 연료가격 상승 영향이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고강도 경영 효율화를 통해 단위당 전력공급 비용을 매년 3% 이내로 억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