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12/09/20211209163952214742.jpg)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교육부에서 전면등교의 안정적 시행을 위한 대국민 호소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내년 2월부터 청소년을 대상으로도 방역패스를 적용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뒤 학생, 학부모들의 반발이 커지자 세부 내용을 보완하는 쪽으로 들여다보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향후 청소년 방역패스 적용 기준이나 적용 시설 등에서 변동이 있을지 주목된다.
정 청장은 9일 '코로나19 예방접종 특집브리핑'에서 청소년 방역패스 시행이 너무 이르다는 지적에 대해 "학생과 학부모, 관련 단체의 의견을 수렴해 보완할 부분과 개선점을 반영하고, 이러한 불안과 불편을 줄일 수 있는 대책을 관계부처와 협의하겠다"고 답했다.
그는 "청소년에 대해서도 방역패스를 적용하기로 한 것은 접종률을 높이려는 목적도 분명히 있다"면서도 "동시에 청소년들이 주로 생활하는 공간을 접종자 중심으로 안전히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목적을 고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12/09/20211209163904587440.jpg)
전국학부모단체연합 등 60여개 단체가 12월 9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교육부 앞에서 청소년 방역 패스 철회 등을 요구하는 항의 집회를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편, 이날 0시 기준 12~17세 청소년 1차 접종률은 50.2%, 2차 접종률은 34.1%로 나타났다. 접종을 먼저 시작한 16~17세의 1차 접종률은 72.8%, 2차 접종률은 65.8%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