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이것이 대선이다] 安 단일화 승부수, 87년 체제 예외없는 법칙 흔들기...李·尹도 딜레마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경은 기자
입력 2022-02-14 00: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安, 후보자 등록 시작된 13일 尹에 단일화 제안

  • '후보 등록일 지지율 1위=당선자' 법칙 흔들기?

  • 李와 초접전 벌이는 尹, 거절도 수용도 '딜레마'

  • '李·安 단일화' 또는 '安 완주' 바란 여권도 당혹

  • 이날 공표된 조사선 尹, 李에 오차범위 내 우세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13일 '야권 단일화 승부수'를 던진 것은 대선판을 흔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후보자 등록 당시 지지율 1위를 기록한 후보가 매번 어김없이 당선됐던 점을 감안할 때 단일화 제안을 더는 미룰 수 없었던 것으로도 보인다.

그러나 단일화 공을 받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나 그간 안 후보에게 러브콜을 보냈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나 당분간 깊은 딜레마에 빠질 것으로 전망된다.
 

제20대 대통령선거 공식 선거운동을 이틀 앞둔 13일 오후 인천 송도의 한 차량광고업체 차고지에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 선거운동에 사용될 버스가 주차돼 있다. 안 후보는 이날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에게 야권 후보 단일화를 공식 제안했다. [사진=연합뉴스]

◆'野 단일화' 띄운 安에 '딜레마' 빠진 李·尹

국민의힘은 안 후보의 여론조사 방식 단일화 제안을 사실상 거절했으나, 이 후보와의 오차범위 내 초접전을 이어가는 상황에서 야권 단일화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된 기류다. 정권교체를 희망하는 국민 여론이 과반이지만, 야권 지지 표심이 윤 후보와 안 후보 양측으로 나뉠 경우 이 후보의 '어부지리 당선 가능성'이 점쳐지기 때문이다.

반문(반문재인) 정서를 강조하며 정권교체 목소리를 키우고 있는 윤 후보로서는 안 후보 제안을 명시적으로 거절하기도, 수용하기도 어려운 난국에 처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윤 후보는 지난 8일 공개된 언론 인터뷰에서 안 후보와의 단일화 가능성을 열어두며 '일대일 담판 방식'을 거론했다. 윤 후보가 사실상 안 후보의 '양보'를 요구한 것이라는 해석이 대체적이었지만, 그럼에도 안 후보가 여론조사 방식을 제안한 것은 향후 있을 담판에서 최대한의 지분을 얻어내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당사자인 윤 후보와 국민의힘뿐 아니라 안 후보와의 단일화 가능성을 닫지 않았던 여권도 야권 단일화 본격화에 당혹스러운 기색을 숨기지 못하는 기색이다.

야권 단일화 가능성을 경계해온 민주당은 그간 안 후보 측과의 물밑 접촉을 통해 이 후보와의 연대 내지 단일화를 시도해왔다. 양당 간 단일화가 무산되더라도 최소한 안 후보가 완주해 야권표가 분산되기를 기대한 셈이다. 하지만 안 후보가 후보자 등록이 시작된 이날 기다렸다는 듯이 단일화 논의를 제안하자 이 후보의 패색이 더욱 짙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진다. 

다만 일부 여권에서는 안 후보가 제안한 여론조사 방식을 윤 후보가 받을 리 없다는 점에서 야권 단일화가 성사되기 쉽지 않다는 기대 섞인 전망도 뒤따른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왼쪽)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지난 2월 11일 오후 서울 중구 매경미디어센터에서 열린 '한국기자협회 주최 방송 6개사 공동 주관 2022 대선후보 초청 토론회'에 참석하고 있다.[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후보 등록일 尹 41.6%vs 李 39.1%...'87년 체제' 따를까

정치권에서는 '후보 등록일 지지율 1위 후보'가 '대선 당일 당선자'라는 법칙이 이번 대선에서도 재현될지 주목한다. 대통령 직선제가 도입된 1987년 이후 치러진 13~19대 대선에서 등록일 전후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1위를 기록한 후보가 예외 없이 본선에서도 승리한 까닭이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오마이뉴스 의뢰로 지난 6∼11일 전국 만 18세 이상 3040명을 대상으로 대선 후보 지지도를 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1.8%포인트), 이날(13일) 공표한 결과 윤 후보는 41.6%, 이 후보는 39.1%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두 후보 간 격차는 오차범위 내(2.5% 포인트)였다.

'서던포스트'가 CBS 의뢰로 지난 12일 하루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95% 신뢰수준 ±3.1%포인트, 13일 공표)에서도 윤 후보는 35.5%, 이 후보는 35.0%로 각각 집계, 0.5%포인트의 격차를 기록했다. 마찬가지로 오차범위 내다. 두 여론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