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2/24/20220224134037306462.jpg)
미 육군 제82공수사단 소속 군용 차량(험비)이 23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접경 지역인 폴란드 동부 아르와모프 인근의 공군기지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외교부는 24일 우크라이나 상황과 관련해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러시아가 어떠한 형태로든 전면전을 감행할 경우 우리 정부도 대러 수출통제 등 제재에 동참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에게 "제반 상황에 비추어볼 때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침공이 임박한 것으로도 볼 수 있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는 미국 등 우방국들과 대응 방안을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정부는 이러한 조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우리 경제와 기업에 대한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가능한 방법을 검토·지원해 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정부가 국제사회의 러시아 제재에 동참 의사를 밝힌 것은 처음이다. 그동안 우크라이나 사태의 평화적 해결을 강조하며, 제재 동참 여부에는 말을 아껴왔다. 여러 가능성을 열어 놓고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는 입장이었다. 러시아와의 관계와 에너지 수급·공급망 악화 가능성 등을 고려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임박했다는 소식이 들려오자 정부도 동참 입장을 분명히 했다. 미국, 유럽연합(EU), 호주, 일본 등이 대러 제재에 나서는데 미국 주요 동맹국 중 한국만 소극적이란 비판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 상황은 긴박하게 흘러가고 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은 23일(현지시간) "러시아가 오늘 밤 안에 우크라이나를 전면 침공할 수도 있다"고 밝혔고, 우크라이나는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한편, 우리 정부는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 및 우크라이나 상공에서의 말레이시아항공 여객기 피격 사건 당시 미국이 대러 제재 협조 요청에 구체적인 행동을 취하지 않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