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우려가 확산하며 부동산시장 상황이 악화 일로를 걷고 있다. 특히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행보를 주시하던 시장은 바짝 얼어붙은 상태다.
14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7월 둘째 주(11일 기준)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0.04%를 기록하며 3주 만에 낙폭을 0.01%포인트 확대했다. 서울 아파트값은 5월 마지막 주 이래 7주 내리 하락했으며, 특히 -0.04%의 변동률을 기록한 것은 지난 2020년 5월 둘째 주 이후 2년 2개월여 만이다.
한국부동산원은 서울 전체의 하락 폭이 확대한 것에 대해 "서초구 등 일부 지역에서 고가 거래가 발생했지만,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빅스텝' 인상이 우려되면서 매물 적체가 지속하고 매수심리가 위축했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25개 자치구 중 서초구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마이너스(-)'로 나타났다. 서초구는 반포동 재건축과 신축 단지 위주로 상승 거래가 발생해 한 주간 0.03% 올랐고 전주 당시 4개월 만에 하락으로 돌아선 강남구는 전주와 동일한 하락률(-0.01%)을 유지했다.
목동 신시가지와 독산·시흥동 위주로 매물 누적 상황이 심화한 양천구(-0.05%)와 금천구(-0.03%)의 하락 폭이 확대하며 강남 11개 구 전체의 낙폭도 전주 -0.01%에서 -0.02%로 커졌다.
강북 14개 구의 경우, 전반적으로 내림세가 심화하며 0.06% 하락했다. 특히 대선 이후 서울 최대 상승 지역이었던 용산구가 지난 3월 셋째 주(-0.01%) 이후 16주 만에 하락으로 돌아섰다.
대통령실 이전 이후 지역개발 기대감이 높았던 용산구 역시 거시경제 불확실성 앞에서 하락 반전한 것이다. 실제 억대 하락 거래도 발생했다. 용산구 동자동 '센트레빌 아스테리움 서울'의 전용면적 128㎡는 지난 5일 직전 거래가 대비 1억5000만원 하락한 16억8000만원에 거래됐다.
도봉구와 노원구는 각각 전주 대비 0.04%포인트와 0.02포인트나 하락하며 서울 지역 중 연내 처음으로 -0.1%의 하락세를 보였다. 뒤를 이어 강북구(-0.09%)와 성북·은평구(각 -0.07%) 순으로 큰 낙폭을 보였다.
같은 날 주택산업연구원이 발표한 7월 아파트 분양 전망지수 역시 큰 폭으로 악화했다. 서울의 지수는 전월 대비 7포인트나 하락한 85.4를 기록했다. 2개월 전인 지난 5월 105.0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매월 앞 자릿수를 바꾸고 있는 것이다. 전국의 미분양 물량 전망지수 역시 전월 대비 10.1포인트나 급등한 115.4로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