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 대행은 "파업 장기화로 대우조선은 6500억원가량 손실을 입고 있고, 정규직 570여명이 휴업해 임금이 30% 깎일 처지에 놓였다. 협력업체들도 폐업 위기로 내몰리고 있다"며 "120명이 10만명 생계를 막고 있는 매우 비정상적인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하청노조가 주장하는 임금 30% 인상, 노조 전임제 활동 보장, 하청업체협의회 단체교섭권 인정 등은 원청인 대우조선이나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이 개입할 근거가 없다"며 "하청 노사가 해결해야 할 일을 원청과 주주에 떠넘기는 것은 막무가내식 떼쓰기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을 향해선 "지난 택배노조 파업 당시에도 비노조원 업무를 의도적으로 방해하기 위해 폭력도 서슴지 않는 강성노조 행태에 많은 국민이 분노했다"며 "특히 MZ세대(1980~2000년대 초 출생)는 불법적·폭력적 노조 활동에 큰 거부감을 느끼고 있다"고 맹비난했다.
그는 "우리 사회가 선진화되기 위해서는 불법에 끌려다녀서는 안 된다"며 "법원도 법정에서 정한 정당한 쟁의행위 범위를 벗어났다며 불법 점거 노조원에 대한 해고 결정을 내렸다. 정부는 법과 원칙에 따라 단호하게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