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긴급·일시돌봄 서비스는 입원이나 야간근무 등 부득이한 사정으로 초등학생 자녀를 맡겨야 할 때 가까운 지역아동센터에서 단시간 돌봄을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다. 해당 지역아동센터를 상시 이용하지 않는 미등록 아동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긴급·일시돌봄 서비스는 평일 주·야간과 토요일에 이용할 수 있으며 일 단위 '긴급돌봄'과 주·월 단위 '일시돌봄' 두 가지로 운영된다. 지역아동센터에 사전 예약 후 이용할 수 있고, 긴급한 경우 센터별 상황에 따라 당일 신청도 가능하다. 초등학생과 만 7세~만 12세 아동이 대상이다.
시는 아동복지시설 중 이용자 수가 가장 많고 아이돌봄 경험이 풍부한 지역아동센터에 긴급·일시돌봄 서비스를 선도적으로 도입한다. 정책 취지는 예기치 않은 돌봄 공백으로부터 아이들을 적극 보호하고, 엄마, 아빠의 일-양육 병행을 돕는 것이다.
지역아동센터는 방과후 돌봄이 필요한 18세 미만 아동을 대상으로 한 돌봄시설로, 방과 후와 방학 중 교육프로그램과 건전한 놀이·오락 프로그램, 보호자와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종합적인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시는 우선 신청을 통해 성동구·마포구·강남구를 제외한 서울 지역 22개구에서 우수 지역아동센터 총 24개를 선정하고 이달부터 긴급·일시돌봄 서비스를 시범 운영 중이다.
연말까지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현장 수요를 재반영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를 확충해간다는 계획이다. 시는 선정된 지역아동센터에 월 50만원의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야근 등 갑작스러운 사정으로 아이를 급하게 맡겨야 할 일이 생기는 것은 양육자에게는 큰 스트레스"라며 "그동안 지역사회에서 돌봄기능을 우수하게 수행해 온 지역아동센터를 통한 긴급·일시돌봄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도입해 돌봄공백을 보완하고 일과 양육을 병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