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엄정화는 예능과 드라마 등을 통해서 만능 엔터테이너의 면모를 보여주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얼마전 종영한 JTBC 드라마 '닥터 차정숙'을 통해서 그의 인기는 전 세대를 아우르고 있다. 길거리나 축제에서도 '엄정화'보다 '차정숙'으로 더 많이 불릴 정도라고 한다. 그와 닥터 차정숙의 인기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드라마 '닥터 차정숙' 작품이 공개되기 전과 후 기대감에 있어서 달라진 부분이 있나.
작품이 공개되기 전에는 많은 분들이 좋아해줄 거라고 생각을 못해서 두려운 마음으로 기다렸어요. 이야기가 많이 따뜻해서 기대감도 있었어요.
신인 시절보다 요즘 저의 감정이 많이 투영된 것 같아요. 차정숙이 앞으로 나아가는 모습이 좋았고 공감이 많이 되고 힘이 많이 됐어요.
-예상 시청률을 어떻게 생각했나.
10%만 넘어도 좋겠다는 생각을 했었어요.
-예전 시청자 분위기와 요즘 시청자의 분위기가 어떻게 다른가.
많이 달라졌어요. 정숙의 독립을 바라는 분위기더라고요.
-차정숙의 인기를 실감할 때는 언제였나.
얼마 전에 고려대 축제를 갔는데 학생들이 '차정숙'을 외치더라고요. 그리고 인사를 많이 받아요. 드라마로서 이렇게 사랑받은 적이 없었는데 친근하게 받아들이는 것 같아요.
-어떻게 보면 막장인 드라마인데 젊은 세대들한테 인기가 많은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시나.
너무 신기해요. 연령층과 관계없이 많이들 봐주시는 것 같은데 재밌고 진심이 들어 있어서 좋아하시나라는 생각이 들어요.
-도전의 원동력은 뭔가.
지금 와서 돌아보니까 내가 하고 싶고 가고 싶은 길을 크게 생각했던 것 같아요. 많이 도전했고 지나왔고 넘어섰던 것 같아요.
-차정숙과 엄정화의 비슷한 점은 뭐라고 생각하시나.
나이 때문에 받는 타박들이 있어요. "100세 시대에 50이면 청춘이지"라는 말에 울컥했어요.
-속이 뻥 뚫리는 '사이다'를 느꼈던 장면은 뭔가.
많았는데 정숙이가 회식 때 남편에 대해 물어보니까 '죽었어요'라고 말한 장면이었어요. 그 장면에서 재밌다는 반응이 많더라고요. 그리고 정숙이가 뺨 때리는 장면도 좋아하시고요. 너무 즐겁게 봐주셔서 행복했어요.
-기억에 남는 반응이 있나.
반응이 엄청 많더라고요. "왜 차정숙이 차씨냐, 서인호를 차서 차씨냐"라는 말이 너무 웃겼어요.
-차정숙이 인생캐릭터로 등극했나.
차정숙이 인생캐릭터가 된 것 같아요. 사람들이 반가워하면서 ‘차정숙’이라고 하는 게 놀라운 경험이에요.
-차정숙을 통해서 이상형이 변한 게 있나.
정직한 사람이 좋아요.
-촬영을 하면서 아쉬운 게 있나.
아쉬운 게 많아요. 촬영이 끝나고 집에 갈 때 아쉬운 것들이 떠올라요. 그리고 촬영 막바지에 "잘돼야 하는데"라고 걱정을 많이 했던 게 후회가 돼요. 지금 돌아보면 '즐길 걸'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배우로서 엄정화를 움직이게 하는 원동력은 뭔가.
이 일을 얼마나 좋아하느냐가 원동력이에요. 이걸 얼마나 소중하게 생각하고 사랑하는지. 지금까지 잘 지내 온 것 같아요. 열정만 식지 않는다면 계속 갈 수 있을 것 같아요.
-도전이 두려울 때 어떻게 극복을 했나.
항상 불안하거나 두려움을 가지고 살아왔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할 수 있다고 하면서 스스로 응원을 많이 하고 있어요.
-요즘 행복지수는 어떻게 되나.
99.9%요. 최대한 이걸 누리고 싶어서 기분 좋다고 말하면서 시작해요.
-엄정화가 자존감을 높이는 법이 있나.
저 스스로한테 야박하고 스스로에게 칭찬하지 못하면서 지내왔는데 어느 순간 그걸 깨닫게 됐어요. 마흔이 지나고 나서 자존감에 대한 책을 많이 찾아봤는데 그게 도움이 된 것 같아요.
저도 갑상선 수술을 했는데 그때는 이 모든 시간이 너무 감사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리고 마음에 어떤 걸 담아야 되는지 느끼게 됐어요.
-요즘 도전하고 싶은 게 있나.
지금 하고 있는 일을 깊게 잘하고 싶어요.
-마지막으로 치열하게 살아가고 있는 이 세상 모든 차정숙들에게 한 말씀 해달라.
많은 정숙이 분들이 공감하시는 것 같은데 늦었다고 생각하지 말고 자기를 사랑하고 들여다보면 자기가 사랑하는 거 하나라도 시도해볼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그게 생활의 즐거움이 되고 힘이 되면 새로운 걸 찾을 수 있는 시선이 생길 거예요.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