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유플러스 홍보 모델이 '2022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가 환경·사회·투명경영(ESG) 정보를 강화한 '2022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 ESG 경영활동의 성과와 지향점은 물론, 비재무적 정보를 공시한 것이 특징이다.
이번 보고서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국제 표준인 'GRI 2021'을 반영해 산업별로 세분화한 '부문별 표준'을 신규 도입했다. 보고서에는 보편표준 3개, 주제별 표준 31개, 신규 편성한 부문별 표준 40개를 지표로 추가해 이전보다 많은 ESG 정보를 수록했다.
또 '이중 중대성 평가 프로세스'도 도입했다. 이중 중대성 평가란 사회·환경이 기업의 재무 상태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의 경영이 사회·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평가 방식이다. LG유플러스의 경영과 크게 연관이 있는 5가지의 핵심 이슈를 선정하고, 각각의 목표와 세부 계획을 밝힌 전략과 활동 성과를 중점 이슈로 분류했다. 5대 핵심 이슈는 △고객 만족도 향상 △에너지 사용과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일과 삶의 균형 추구 △재생에너지 사용량 확대 △정보보안과 개인정보보호 관리 강화 등이다.
이외에도 LG유플러스는 환경분야에서 내·외부 소통을 바탕으로 한 환경경영과 용수관리·폐기물 관리 등을 통한 자원순환 활동 현황, 친환경 통신 기술 서비스 등을 소개했다. 사회분야에서는 △인권경영 △다양성 확보 △안전보건 △사회공헌 △동반성장 등을 수록했다. 지배구조 분야에서는 정도경영과 준법경영, 리스크 관리 등에 LG유플러스의 경영 전반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보고서 구성 측면에서 LG유플러스는 기존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형식에서 벗어나 개조식 형태의 보고서 작성법을 활용해 불필요한 서술을 줄이고 가시성을 증대했다. 또 LG유플러스의 대표 캐릭터인 무너, 홀맨, 아지 등을 활용해 보고서의 디자인을 구성하고, 딱딱한 이미지를 벗어났다.
이홍렬 LG유플러스 ESG추진실장은 "이번 보고서는 LG유플러스의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ESG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작성했다"며 “다양한 ESG 활동과 목표 등을 앞으로도 보고서를 통해 지속적으로 소개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국제 표준인 'GRI 2021'을 반영해 산업별로 세분화한 '부문별 표준'을 신규 도입했다. 보고서에는 보편표준 3개, 주제별 표준 31개, 신규 편성한 부문별 표준 40개를 지표로 추가해 이전보다 많은 ESG 정보를 수록했다.
또 '이중 중대성 평가 프로세스'도 도입했다. 이중 중대성 평가란 사회·환경이 기업의 재무 상태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의 경영이 사회·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평가 방식이다. LG유플러스의 경영과 크게 연관이 있는 5가지의 핵심 이슈를 선정하고, 각각의 목표와 세부 계획을 밝힌 전략과 활동 성과를 중점 이슈로 분류했다. 5대 핵심 이슈는 △고객 만족도 향상 △에너지 사용과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일과 삶의 균형 추구 △재생에너지 사용량 확대 △정보보안과 개인정보보호 관리 강화 등이다.
이외에도 LG유플러스는 환경분야에서 내·외부 소통을 바탕으로 한 환경경영과 용수관리·폐기물 관리 등을 통한 자원순환 활동 현황, 친환경 통신 기술 서비스 등을 소개했다. 사회분야에서는 △인권경영 △다양성 확보 △안전보건 △사회공헌 △동반성장 등을 수록했다. 지배구조 분야에서는 정도경영과 준법경영, 리스크 관리 등에 LG유플러스의 경영 전반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이홍렬 LG유플러스 ESG추진실장은 "이번 보고서는 LG유플러스의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ESG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작성했다"며 “다양한 ESG 활동과 목표 등을 앞으로도 보고서를 통해 지속적으로 소개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