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30년의 발자취를 되돌아보는 특별전시가 개막했다.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30주년 계기 특별전시 개막식이 18일 오후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몰타 기사단 수도원에서 열렸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이하 예술위)가 주최한 이번 개막식에는 1997년 한국관에 참여해 특별상을 수상한 강익중 작가를 비롯한 역대 한국관 참여 작가들과 예술감독들, 정병국 예술위 위원장, 이성호 주이탈리아대사, 강형식 주밀라노총영사, 박남희 백남준아트센터관장 등 국내외 미술계 관계자 등이 함께해 자리를 빛냈다.
1995년부터 운영한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은 올해 30주년을 맞이했으며, 이를 기념한 특별전이 오는 9월 8일까지 베니스 몰타기사단 수도원에서 열린다.
이번 특별전은 예술을 통한 시간과 공간의 연결을 상징하는 ‘모든 섬은 산이다(Every Island is a Mountain)’를 주제로 역대 한국관 참여 작가 36명(팀)의 예술 작업을 담았다. 1995년 한국관 개관 당시 선보인 작품부터 최근 신작까지 지난 30년간 생산된 작업을 통해 한국미술이 세계무대로 나간 그동안의 발자취를 확인한다.
‘모든 섬은 산이다’ 전시를 주최한 예술위 정병국 위원장은 “이 전시는 최근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한국미술에 대해 제대로 알릴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작으로는 인공지능(AI) 도슨트와의 대담을 통해 전시 주제를 인문학적·기술적 상상력으로 확장한 이완의 ‘커넥서스: 섬 속의 산’(2024), 생동하는 반고체 물질로 이뤄진 김윤철의 ‘스트라타’(2024), 삶과 죽음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제인 진 카이젠의 영상 ‘수호자들’(2024), 사운드 경험을 공간적으로 확장한 김소라의 ‘얼어붙은 방귀의 싸늘한 냉기’(2023-24), 예술적 협업자들과의 기억을 다룬 이주요의 ‘Outside the Comfort Zone’(2024), 전통과 문명을 재해석하는 황인기와 문성식, 성낙희의 회화가 포함된다. 또한 최근 멕시코에서 펼친 퍼포먼스를 사진 설치 작품으로 담은 김수자의 ‘바늘여인-자오선’(2023) 등도 관객을 만난다.
이와 더불어, 1995년 한국관 개관 당시 비구니가 참여한 퍼포먼스로 화제가 되었던 곽훈의 ‘겁/소리-마르코 폴로가 가져오지 못한 것’(1995), 수만 장의 졸업앨범 사진을 벽지로 구성한 서도호의 2001년 본전시 참여작 ‘Who Am We?’(2000), 한국의 대표적 주거 형태인 아파트의 삶을 담은 정연두의 2005년 한국관 전시작 ‘상록타워’(2001) 등 역대 한국관 참여 작품이 현재의 관점으로 재연된다.
한편, 베니스의 사설 정원 중 최대 규모로 알려진 3000㎡의 야외 공간에서는 화합의 메시지와 생태적 상상을 담은 대형 설치 작품이 전시된다.
뒤엉킨 사물의 응축된 에너지를 포착한 정서영의 대형 사진 작품 ‘증거’(2014), 북한 실향민의 고향에 대한 기억을 드로잉에 담은 강익중의 신작 ‘아리랑’(2024), 해안가에서 수집한 폐스티로폼으로 탑을 쌓아 생태적 공존을 기원하는 최정화의 ‘nATuReNuRture’(2023-24), 그리고 대지와 인간의 호흡을 연결하는 곽훈의 작품은 전 지구적 분쟁과 생태적 위기에 대한 성찰을 담아낸다. 또한, 자르디니 내에 위치한 한국관의 개방적인 건축구조를 오마주하며 제작된 ‘투명한 파빌리온’(2024)은 모두에게 열린 쉼터이자 비엔날레의 미래를 함께 도모하는 공동의 플랫폼이다.
한국관도 같은 기간에 운영되며 구정아 작가가 참여한다. 구 작가는 오도라마 시티(ODORAMA CITIES)라는 제목으로 ‘한국 향기 여행(Korean scent journey)’을 주제로 한 신작들을 선보인다.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30주년 계기 특별전시 개막식이 18일 오후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몰타 기사단 수도원에서 열렸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이하 예술위)가 주최한 이번 개막식에는 1997년 한국관에 참여해 특별상을 수상한 강익중 작가를 비롯한 역대 한국관 참여 작가들과 예술감독들, 정병국 예술위 위원장, 이성호 주이탈리아대사, 강형식 주밀라노총영사, 박남희 백남준아트센터관장 등 국내외 미술계 관계자 등이 함께해 자리를 빛냈다.
1995년부터 운영한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은 올해 30주년을 맞이했으며, 이를 기념한 특별전이 오는 9월 8일까지 베니스 몰타기사단 수도원에서 열린다.
‘모든 섬은 산이다’ 전시를 주최한 예술위 정병국 위원장은 “이 전시는 최근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한국미술에 대해 제대로 알릴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작으로는 인공지능(AI) 도슨트와의 대담을 통해 전시 주제를 인문학적·기술적 상상력으로 확장한 이완의 ‘커넥서스: 섬 속의 산’(2024), 생동하는 반고체 물질로 이뤄진 김윤철의 ‘스트라타’(2024), 삶과 죽음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제인 진 카이젠의 영상 ‘수호자들’(2024), 사운드 경험을 공간적으로 확장한 김소라의 ‘얼어붙은 방귀의 싸늘한 냉기’(2023-24), 예술적 협업자들과의 기억을 다룬 이주요의 ‘Outside the Comfort Zone’(2024), 전통과 문명을 재해석하는 황인기와 문성식, 성낙희의 회화가 포함된다. 또한 최근 멕시코에서 펼친 퍼포먼스를 사진 설치 작품으로 담은 김수자의 ‘바늘여인-자오선’(2023) 등도 관객을 만난다.
이와 더불어, 1995년 한국관 개관 당시 비구니가 참여한 퍼포먼스로 화제가 되었던 곽훈의 ‘겁/소리-마르코 폴로가 가져오지 못한 것’(1995), 수만 장의 졸업앨범 사진을 벽지로 구성한 서도호의 2001년 본전시 참여작 ‘Who Am We?’(2000), 한국의 대표적 주거 형태인 아파트의 삶을 담은 정연두의 2005년 한국관 전시작 ‘상록타워’(2001) 등 역대 한국관 참여 작품이 현재의 관점으로 재연된다.
한편, 베니스의 사설 정원 중 최대 규모로 알려진 3000㎡의 야외 공간에서는 화합의 메시지와 생태적 상상을 담은 대형 설치 작품이 전시된다.
뒤엉킨 사물의 응축된 에너지를 포착한 정서영의 대형 사진 작품 ‘증거’(2014), 북한 실향민의 고향에 대한 기억을 드로잉에 담은 강익중의 신작 ‘아리랑’(2024), 해안가에서 수집한 폐스티로폼으로 탑을 쌓아 생태적 공존을 기원하는 최정화의 ‘nATuReNuRture’(2023-24), 그리고 대지와 인간의 호흡을 연결하는 곽훈의 작품은 전 지구적 분쟁과 생태적 위기에 대한 성찰을 담아낸다. 또한, 자르디니 내에 위치한 한국관의 개방적인 건축구조를 오마주하며 제작된 ‘투명한 파빌리온’(2024)은 모두에게 열린 쉼터이자 비엔날레의 미래를 함께 도모하는 공동의 플랫폼이다.
한국관도 같은 기간에 운영되며 구정아 작가가 참여한다. 구 작가는 오도라마 시티(ODORAMA CITIES)라는 제목으로 ‘한국 향기 여행(Korean scent journey)’을 주제로 한 신작들을 선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