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 AI 도입 더 쉽게'…IBM "스토리지 포트폴리오, AI 워크로드에 최적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장하은 기자
입력 2024-06-04 14:59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IBM 스토리지는 비용 등 기업의 생성 인공지능(AI) 도입에서 발생하는 여러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날 행사를 위해 방한한 빈센트 부사장은 AI와 빅데이터가 스토리지 업계에 가져오는 변화와 요구에 대해 설명하며 "AI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이 최고에 달하는 지금, 실제 AI 도입을 방해하는 장애물로 인프라 비용 문제가 계속해서 대두된다"고 짚었다.

    AI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IBM 스토리지 스케일 시스템(SSS) 비즈니스가 크게 성장하고 있다는 부연이다.

  • 글자크기 설정
  • 올해는 데이터 폭증 대비 필요...AI 성능 향상·GPU 활용 지원

빈센트 쉬 IBM 스토리지 최고기술책임자CTO 부사장이 4일 서울 여의도 IFC몰에서 열린 IBM 스토리지 미디어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장하은 기자
빈센트 쉬 IBM 스토리지 최고기술책임자(CTO) 부사장이 4일 서울 여의도 IFC몰에서 열린 IBM 스토리지 미디어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장하은 기자]

"IBM 스토리지는 비용 등 기업의 생성 인공지능(AI) 도입에서 발생하는 여러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특히 AI 성능 향상·그래픽처리장치(GPU)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AI 워크로드에 최적화돼 있다."

빈센트 쉬 IBM 스토리지 최고기술책임자(CTO) 부사장은 4일 서울 여의도 IFC몰에서 열린 IBM 스토리지 미디어 행사에서 생성 AI 도입과 IBM의 전략을 설명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행사를 위해 방한한 빈센트 부사장은 AI와 빅데이터가 스토리지 업계에 가져오는 변화와 요구에 대해 설명하며 "AI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이 최고에 달하는 지금, 실제 AI 도입을 방해하는 장애물로 인프라 비용 문제가 계속해서 대두된다"고 짚었다. AI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IBM 스토리지 스케일 시스템(SSS) 비즈니스가 크게 성장하고 있다는 부연이다. 

행사에 함께 참석한 박대성 한국IBM 스토리지 사업총괄 상무는 현재 업계 트렌드에 대한 인사이트를 토대로 한국IBM 스토리지 사업부의 방향성과 성과를 소개했다. 특히 AI와 빅데이터 프로젝트에 특화돼 한국 사업부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IBM SSS 고객 성공 사례를 공개했다. 

대표적인 신규 고객 성공 사례로 소개된 곳은 AI 기반 희귀질환 진단 스타트업 쓰리빌리언(3billion)이다. 쓰리빌리언은 최근 유전체 분석과 대용량 결과물(데이터)을 보관(아카이빙)하기 위해 IBM SSS로 인프라를 구축했다. IBM SSS는 다양한 소스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구성·분석하는데 최적화돼 있다고 알려졌다. 이에 쓰리빌리언은 유전체 데이터 분석과 고객 선정 데이터를 고성능 스토리지(NVMe) 환경에서 IBM SSS에 저장하고, 디스크 스토리지(HDD)에 해당 데이터를 자동 분류했다. 또 IBM 테이프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해당 데이터를 자동 보관하는 체계도 정립했다. 

박 상무는 "올해는 특히 폭발적인 데이터 증가 대비 한정적인 정보기술(IT) 투자로 보다 근본적인 스토리지 인프라 전략이 검토되고 있다"며 "하이퍼스케일러(대형 데이터센터 운용 업체)와 기업(엔터프라이즈) 고객군을 시작으로 콜드 아카이빙 솔루션을 본격적으로 도입하고 있다"고 말했다. 콜드 아카이빙 솔루션은 접근 빈도가 낮은 데이터나 장기적으로 보관해야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스템의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박 상무는 2023년 레드햇에서 IBM의 자산으로 통합된 IBM 스토리지 세프에 대해 "특히 빅데이터 관련 프로젝트 고객들 사이에서 세프에 대한 관심사가 높다"고 언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