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으로 보는 오늘의 대한민국(2024년 6월 12일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장성원 국제경제팀 팀장
입력 2024-06-12 07:59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3년 가까이 이어진 장기 인플레이션 터널을 지나며 서민 가계와 소상공인·자영업자 등 삶이 극도로 피폐해지고 있다.

    경기 회복세가 완연하다는 기획재정부 등 관계 당국 주장이 먼 나라 얘기로 들리는 이유다.

    1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국세청 국세통계포털 등 지표를 세부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말 기준 소비자물가는 2년 전인 2022년 1분기 말과 비교해 8.16% 상승했다.

  • 글자크기 설정
3년 가까이 이어진 장기 인플레이션 터널을 지나며 서민 가계와 소상공인·자영업자 등 삶이 극도로 피폐해지고 있다. 택시비·세탁비 등 민생과 직결된 항목 대부분은 가격 상승률이 두 자릿수 이상 치솟았다. 
같은 기간 전국 슈퍼마켓과 노래방, 호프집 등도 각각 1000개 넘게 증발하며 동네 분위기를 침울하게 만들었다. 경기 회복세가 완연하다는 기획재정부 등 관계 당국 주장이 먼 나라 얘기로 들리는 이유다.
1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국세청 국세통계포털 등 지표를 세부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말 기준 소비자물가는 2년 전인 2022년 1분기 말과 비교해 8.16% 상승했다. 2022년 1분기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을 본격화하던 시기다.
밥상 물가로 불리는 농축수산물 가격이 13.45% 급등한 가운데 소비자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 물가)도 7.71% 올라 민생고를 키웠다. 특히 생활 밀착형 서비스물가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목욕료가 26.96% 뛰었고 세탁료(23.91%), 택시비(21.03%), 간병도우미(21.11%), 대리운전(18.41%), 세차료(16.3%) 등도 두 자릿수 넘는 상승률을 보였다.
서울 성북구에 거주하는 40대 회사원 A씨는 "양복과 와이셔츠 등을 맡기던 동네 세탁 프렌차이즈 업체 이용을 끊은 지 한참 됐다"며 "야근이나 회식으로 귀가가 늦어져도 웬만하면 택시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한다"고 토로했다.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타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고물가에 3%대 고금리까지 엄습하면서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줄폐업이 발생하고 있다.
 
아주경제 1면
아주경제 1면
아주경제 2면
아주경제 2면
아주경제 3면
아주경제 3면
아주경제 22면
아주경제 22면
아주경제 23면
아주경제 23면

조선일보 1면
조선일보 1면
중앙일보 1면
중앙일보 1면
동아일보 1면
동아일보 1면
매일경제 1면
매일경제 1면
한국경제 1면
한국경제 1면
 
신문으로 보는 오늘의 대한민국 2024년 6월 12일자
신문으로 보는 오늘의 대한민국 (2024년 6월 12일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