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국제 사회 '왕따' 푸틴·김정은, 美 주도 질서에 맞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주혜 기자
입력 2024-06-19 17:11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평양에서 정상회담을 한 가운데 외신들 역시 북러 밀착 심화를 주시했다.

    이 매체는 "(정상회담은) 불법 무기 개발로 국제 사회에서 고립된 김 위원장에게 큰 힘"이라며 러시아가 북한에 강력한 군사 기술을 이전할 것이란 전망은 한국과 미국 모두의 우려를 일으키고 있다고 짚었다.

    일부 외신은 북한이 중국보다 러시아에 더 밀착하고 있다고 전했다.

  • 글자크기 설정
  • "서방에 공통된 적대감…공동전선 구축"

  • 군사 무기 등 관련 협력 비밀 유지할듯

북한을 국빈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19일 평양시 김일성 광장에서 환영식이 열리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푸틴 대통령을 행사장으로 안내하고 있다 사진타스 연합뉴스
북한을 국빈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19일 평양시 김일성 광장에서 환영식이 열리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푸틴 대통령을 행사장으로 안내하고 있다. [사진=타스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평양에서 정상회담을 한 가운데 외신들 역시 북러 밀착 심화를 주시했다.
 
1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가디언, CNN 등 외신은 두 독재자가 서방에 대한 공통된 적대감에 기반해,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 자유 질서에 맞서기 위한 공동전선을 구축했다고 평했다.
 
푸틴 대통령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북한을 방문한 첫 주요 국가 정상이다. 북한은 러시아에 우크라이나 전쟁에 필요한 재래식 무기를 공급할 수 있는 소수 국가 중 하나다.
 
NYT는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와의 장기전을 지원하기 위해 북한으로부터 포탄과 미사일을 받았다”며 “이번 방문에서도 더 많은 무기를 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자국의 석유 부족을 해소하고 무기 체계를 개선하며, 경제를 압박하려는 미국의 시도를 약화하기 위해 러시아의 지원을 갈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독일 국제 방송 도이체벨레(DW)는 “전 세계에서 배척받고 있는 북러 두 나라는 회담을 통해 관계를 강화하길 바란다”며 “전문가들은 일부 협정, 특히 무기, 첨단 미사일 및 위성 기술 이전 등에 관련한 협정이 비밀로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한다”고 보도했다. 그간 북러는 군사 기술 및 위성 기술 이전에 대한 협력을 부인해 왔다.
 
AP통신은 러시아가 북한에 제공할 군사 지원에 주목했다. AP는 “북한의 군사 프로그램에는 잠재적으로 미국 본토에 도달할 수 있는 대륙간 탄도미사일 개발이 포함돼 있으나, 이를 발전시키려면 외부 기술 지원이 필요할 수 있다”며 “러시아가 우주로켓과 군사 정찰위성 관련 기술로 북한을 지원하고 있다는 징후가 이미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매체는 북한이 무기를 테스트하면 한미일이 이에 대한 맞대응으로 연합 군사 훈련을 펼치는 것이 사이클로 자리 잡고 있다며, 한반도 긴장이 수년 만에 최고조에 달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남한은 대북 선전 방송을, 북한은 오물 풍선을 보내는 등 ‘냉전식 심리전’을 벌이고 있다고 짚었다.  

CNN은 이번 정상회담은 북러 관계의 새로운 장을 연 것이라고 평했다. 이 매체는 “(정상회담은) 불법 무기 개발로 국제 사회에서 고립된 김 위원장에게 큰 힘”이라며 러시아가 북한에 강력한 군사 기술을 이전할 것이란 전망은 한국과 미국 모두의 우려를 일으키고 있다고 짚었다.
 
일부 외신은 북한이 중국보다 러시아에 더 밀착하고 있다고 전했다. 가디언은 “중국은 북한 무역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원조 제공국이자 외교 동맹국”이라면서도 “그러나 푸틴 대통령의 평양 방문이 보여주듯, 고립된 국가 북한은 안보 및 경제에서 러시아에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