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 들녁경영체회 협력 '정밀농업 실증' 확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대구=이인수 기자
입력 2024-06-24 11:34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대동은 미래농업 리딩기업으로 한국들녘경영체중앙연합회(이하 들녘중앙회)와 데이터 기반의 노지 정밀농업 실증과 자율주행 농기계 보급을 확대한다고 24일 밝혔다.

    이광욱 대동 플랫폼사업본부장은 "대형 농가 중심의 들녘경영체와의 실증은 정밀농업을 실제 사용하는 고객 의견과 평가까지 수렴해 기술을 고도화와 보급화하는 좋은 기회라 생각한다"라며 "글로벌 농업 환경에 맞춰 미래 농업 기술 개발을 전략적으로 추진해 '농업의AI화'를 이끌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장수용 들녘중앙회장은 "다년간 실증으로 효과가 입증된 대동의 정밀농업이 농작물 재배 비용은 낮추고 생산량은 늘릴 수 있기에 대규모 경작을 하는 들녘중앙회 농가에게 필요하다고 본다"라며 "대동과 유기적으로 협력해 농업의 스마트화를 앞당기고, 농가 경쟁력을 높일 것이다"라고 밝혔다.

  • 글자크기 설정
  • 18만평 농경지 맵핑, 토양과 작물 생육 상태 분석

대동은 올해 1월 한국들녘경영체중앙연합회와 정밀농업 확산 보급을 위한 전략적 MOU’를 맺고 지난 4월 경북 상주 들녘경영체회 농가를 대상으로 자율작업 트랙터 시연과 정밀농업 교육을 진행했다 사진대동
대동은 올해 1월 한국들녘경영체중앙연합회와 정밀농업 확산, 보급을 위한 전략적 MOU’를 맺고, 지난 4월 경북 상주 들녘경영체회 농가를 대상으로 자율작업 트랙터 시연과 정밀농업 교육을 진행했다. [사진=대동]

대동은 미래농업 리딩기업으로 한국들녘경영체중앙연합회(이하 들녘중앙회)와 데이터 기반의 노지 정밀농업 실증과 자율주행 농기계 보급을 확대한다고 24일 밝혔다.
 
대동은 올해 1월 들녘중앙회와 ‘정밀농업 확산, 보급을 위한 전략적 MOU’를 맺었다. 이를 기반으로 전북 김제, 경기 이천, 전남 장성, 경북 상주의 들녘경영체회 소속 벼와 논콩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농작물의 파종, 생육, 수확에 맞춰 정밀농업 솔루션 실증을 통한 고도화 및 보고회를 추진하기로 협의했다.
 
관련해, 160개 필지 총 59만5000㎡(약 18만평) 규모의 농경지를 파종 전에 맵핑하고, 토양 채취로 토질을 분석해 변량 시비 솔루션을 제공한다. 생육 시에는 드론으로 농작물의 생육 상태를 촬영 분석해 최적의 시비(비료살포) 및 방제(농약살포)를 처방한다.
 
수확 시기에는 생육 상태에 따른 최적 수확 시기 및 예상 수확량을 진단해 최상급의 농작물 수확량을 극대화한다. 맵핑 된 농경지별로 수확량을 알 수 있는 ‘수확량 모니터링 기능’을 채택한 대동 자율작업 콤바인으로 농작물을 수확해 정밀농업 처방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관련 기술을 고도화한다.
 
현재, 4개 지역 대상 농가의 필지별 토양을 채취 및 분석한 데이터로 토양MAP을 생성하고, 변량 시비 처방 및 작업을 마무리했다. 자율작업 트랙터 시연과 사용법 교육도 진행해, 현재 농가들은 대동의 자율작업 트랙터로 경운 및 파종 작업을 진행 중에 있다. 오는 6~8월에는 드론 생육 촬영을 진행해 농작물 생육 상태에 따른 맞춤 시비 및 방제 처방을 하고, 9~10월 최적 수확 시기 예측을 분석한다.
 
대동은 실증으로 수확량 증대와 농자재와 인건비 등의 생산 비용을 절감해 정밀농업에 대한 농민의 관심도 및 신뢰도를 제고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대동은 21~23년까지 3년간 총 23만평의 벼 재배 농경지에 정밀농업을 실증해, 10a당 비료 사용량은 8.4% 감소, 수확량은 19.2% 증가시켜 농가 수익성을 향상시켰다.
 
이와 함께 정부가 쌀 대체 작물로 보급하며 재배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논콩의 정밀농업화’를 추진해 디지털 농업의 저변을 넓히고자 한다. 관련해 논콩 재배면적은 16년 4422ha(1340만평)에서 23년 1만8314ha(5540만평)로 4.1배 확대됐다.
 
대동은 향후 커넥트(Connetc) 앱에서 정밀농업 농경지 관리 서비스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농가는 정밀농업 추진 현황과 시기별 농작물의 생육 상태를 쉽게 확인하고, 영농 일지도 작성해 데이터 기반의 농업 활동을 진행할 수 있다. 26년까지 농작업 대행 서비스와 정밀농업 솔루션 기능도 추가할 계획이다.
 
이광욱 대동 플랫폼사업본부장은 “대형 농가 중심의 들녘경영체와의 실증은 정밀농업을 실제 사용하는 고객 의견과 평가까지 수렴해 기술을 고도화와 보급화하는 좋은 기회라 생각한다”라며 “글로벌 농업 환경에 맞춰 미래 농업 기술 개발을 전략적으로 추진해 ‘농업의AI화’를 이끌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장수용 들녘중앙회장은 “다년간 실증으로 효과가 입증된 대동의 정밀농업이 농작물 재배 비용은 낮추고 생산량은 늘릴 수 있기에 대규모 경작을 하는 들녘중앙회 농가에게 필요하다고 본다”라며 “대동과 유기적으로 협력해 농업의 스마트화를 앞당기고, 농가 경쟁력을 높일 것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대동은 지난달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과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을 융합한 스마트농업 기술 확산에 속도를 내고, 내실 있는 협업을 위해 ‘스마트농업 협력 협의체’를 출범했다. 협의체를 중심으로 데이터, 정밀농업, 그린바이오, 현장 확산 4개 분과 18개 협력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농업 기술과 서비스 개발하고 들녘경영체 농가 대상의 현장 확산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