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폭염 상상 이상...링컨 대통령 '밀랍' 머리도 날려버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원은미 기자
입력 2024-06-26 08:47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미국에서 북동부를 강타한 폭염으로 한 초등학교에 올초 설치된 제16대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1809∼1865)의 조형물이 녹아내렸다.

    24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워싱턴DC에 있는 개리슨 초등학교 교정에는 지난 2월 의자에 걸터앉은 링컨의 모습을 묘사한 높이 약 1.8m의 밀랍 조형물이 설치됐다.

    해당 조형물은 남북전쟁(1861∼1865년)과 그 여파에 대한 관심을 높이려는 취지로 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 글자크기 설정
폭염에 녹아내린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 형상의 밀랍 조형물 사진연합뉴스 컬처럴 DC 홈페이지
미 워싱턴DC에서 폭염에 녹아내린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 형상의 밀랍 조형물. [사진=연합뉴스, 컬처럴 DC 홈페이지]

미국에서 북동부를 강타한 폭염으로 한 초등학교에 올초 설치된 제16대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1809∼1865)의 조형물이 녹아내렸다. 

24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워싱턴DC에 있는 개리슨 초등학교 교정에는 지난 2월 의자에 걸터앉은 링컨의 모습을 묘사한 높이 약 1.8m의 밀랍 조형물이 설치됐다.

해당 조형물은 남북전쟁(1861∼1865년)과 그 여파에 대한 관심을 높이려는 취지로 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섭씨 35도 안팎의 기온이 며칠째 이어지자, 조형물은 빠르게 제 모습을 잃어갔다. WP는 "24일 오전에는 급기야 머리가 사라지고 왼쪽 다리가 상체에서 분리됐다"고 전했다.

조형물을 제작한 예술가 샌디 윌리엄스 4세는 "주변 온도가 화씨 140도(섭씨 60도)에 이르지 않는 한 조각상이 녹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조형물 설치를 지원한 현지 비영리 단체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밀랍 조형물의 형상이 변화하는 것을 의도했지만, 이처럼 급격한 변화는 예상치 못했다"면서 "이건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북동부와 중서부 지역은 열돔 현상으로 인해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는 중이다. 미 기상청(NWS)은 미국 전역에서 약 1500만명이 폭염 경보, 9000만명이 폭염 주의보의 영향권에 놓였다고 밝혔다. 온열질환 환자도 많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워싱턴DC를 포함한 미 북동부 지역은 위도가 비교적 높고 녹지 비중이 커 다른 지역에 비해서는 극심한 더위를 덜 겪었다. 올해는 기온이 치솟으면서 지역 주민들이 고충을 겪고 있다. 뉴햄프셔주 맨체스터 등 미 동북부 일부에선 기온이 예년 이맘때보다 섭씨 기준 15도가량 올랐다. 

이번 폭염은 온실가스 배출 증가로 인한 지구 온난화와 연관성이 매우 깊은 것으로 분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