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경북도지사 "저출생과 전쟁, 국가 개조가 필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안동=최주호 기자
입력 2024-06-26 15:43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26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된 '2024 대한민국 인구 포럼 in 국회' 행사에 참석해 저출생 정책 주도권과 권한을 지방에 넘기고 국가 미래를 위한 한국 대개조 사업인 행정 통합을 신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저출생과 전쟁 선포, 저출생 전주기 실행 전략 추진 등 저출생 극복 모범 사례로 인정받아 지자체장 대표로 참석했다.

    기조 발제자로 나선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대한민국이 저출생으로 죽어가는 나라가 되고 있다며 국난 때마다 경북이 나서 해결한 역사적 소명으로 저출생과 전쟁 선봉에서 꼭 이겨나가겠다고 밝혔다.

  • 글자크기 설정
  • 26일, 저출생 극복 우수 지자체 대표로 '대한민국 인구 포럼 in 국회' 참석

  • 정부는 냉정하게 예산 평가하고 구조 조정해, 저출생 핵심 분야에 투입 필요

2024 대한민국 인구 포럼 in 국회 행사 장면 사진경상북도
2024 대한민국 인구 포럼 in 국회 행사 장면 [사진=경상북도]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26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된 ‘2024 대한민국 인구 포럼 in 국회’ 행사에 참석해 저출생 정책 주도권과 권한을 지방에 넘기고 국가 미래를 위한 한국 대개조 사업인 행정 통합을 신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는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회의원, 지자체, 민간 전문가 등이 참석했으며, 기조 발제, 저출산 인구 위기 극복을 위한 정책 발표, 새로운 미래를 위한 입법부의 책무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저출생과 전쟁 선포, 저출생 전주기 실행 전략 추진 등 저출생 극복 모범 사례로 인정받아 지자체장 대표로 참석했다.
 
기조 발제자로 나선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대한민국이 저출생으로 죽어가는 나라가 되고 있다며 국난 때마다 경북이 나서 해결한 역사적 소명으로 저출생과 전쟁 선봉에서 꼭 이겨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저출생 극복을 위한 해법으로 지방 주도 저출생 극복과 행정 통합을 내놨다.
 
먼저 이 지사는 경북도가 구조 조정해 만든 1100억원의 전쟁 자금을 소개하며, 국가도 냉정하게 기존 예산을 평가해 예산 재분배 등 저출생 핵심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저출생 정책 주도권과 권한을 지방에 대폭 이양해 실제 현장에 맞는 정책 디자인은 지방 정부가 하고 국가는 지역마다 필요한 정책이 실현되도록 제도를 마련하고 예산을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저출생 난제의 주원인이 수도권 집중인 만큼 일극 체제 극복을 위해 500만 명 규모로 행정 통합하고 국방, 외교, 통일을 제외하고 지방으로 모든 권한을 이양해 연방제 수준의 완전한 자치가 필요하다고 밝히고, 행정 통합은 국가 미래를 위한 한국 대개조 사업으로 균형 발전의 유일한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이 지사는 국회에도 저출생 극복은 입법부의 책무라며 저출생 대응 전반을 포괄하는 특별법을 신속히 만들어 강력한 법적 뒷받침을 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인류사에 자랑스러운 역사를 만들고 죽어가는 나라 살리는 저출생과 전쟁에서 이겨 초일류 국가로 나아가야 한다. 국회가 적극적인 역할을 해 달라”고 강조했다.
 
경북도는 올해 초 저출생과 전쟁을 선포하고 저출생과 전쟁 필승 100대 과제를 마련하는 등 국가적 난제인 저출생 극복을 위해 정책 역량을 총동원해 속도감 있게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