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미술관 유치를 둘러싼 각 지자체 간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관련 업계는 청사진 없이 미술관 건립을 추진할 경우, 오히려 부작용이 클 수 있다고 우려한다. 각 지역의 기존 미술관들이 미흡한 운영으로 지적을 받는 상황에서, 이들 미술관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게 더 시급하다는 조언도 나온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광주에 국립현대미술관 분관을 유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과천과 청주에 이어 대전과 대구(국립근대미술관)에서도 국립 미술관 건립이 추진되는 만큼, 광주에도 분관이 들어서야 한다는 주장이다. 광주비엔날레와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지자체들이 미술관 유치에만 집중하고, 소장품 확보나 운영 계획 수립에는 소홀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한 대구가 근대 미술 소장품이 없기 때문에 향후 추진 과정에서 근대미술관과 국립현대미술관 간 재산 분할 문제 등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예상도 있다.
강릉 솔올미술관은 이날을 마지막으로 한국근현대미술연구재단의 위탁 운영이 종료되고, 강릉시로 운영 주체가 변경된다. 하지만 강릉시가 올해 미술관 운영 예산을 책정하지 않아, 전시는 내년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강릉아트센터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임시사용 허가로 미술관을 사용한 것”이라며 “시설물 정비 등으로 인해 내년에 전시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시의 느린 대처가 아쉽다는 의견이 많다.
미술관 유치보다는 기존 미술관과 박물관 운영에 더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부산시립미술관은 지난해 일본 유명 작가 무라카미 다카시 전시를 유치했으나, ‘항습 조건을 맞춰 달라’는 작가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해 예정된 전시 기간을 채우지 못했다.
기존 국립박물관 및 공립미술관의 운영 미흡 논란도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올해 3월 발표한 평가 결과에 따르면, 평가 대상 국립박물관 중 67.3%, 공립미술관 중 59.8%만이 총점 70점을 넘는 데 그쳤다.
이와 관련해 문체부 관계자는 낮은 평가를 받은 기관들을 대상으로 컨설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컨설팅 대상기관은 국립박물관 9관, 공립박물관 31관, 공립미술관 12관 등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평가가 미진했던 곳들 중 컨설팅을 신청한 기관을 대상으로 위원들이 자문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