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8일 "양도성예금증서(CD)금리가 지표금리로 적절한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음에도 여전히 파생상품 거래의 준거금리로 사용되고 있다"며 "한국 무위험지표금리(KOFR)가 우리나라 금융거래의 표준으로 빠르게 자리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 한은 별관 2층에서 열린 '국내 무위험지표금리(KOFR) 활성화를 위한 주요과제 및 향후 추진방향' 컨퍼런스 개회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KOFR는 국채·통안증권을 담보로 하는 익일물 환매조건부채권(RP) 거래 금리를 사용해 산출한 우리나라의 무위험지표금리(RFR)를 말한다.
이 총재는 "주요 선진국은 2012년 리보(LIBOR)금리 조작 사태 이후 지표금리 개선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자국의 금융시장 상황에 맞는 실거래 기반의 무위험 지표금리를 개발·선정했다"며 "활성화 노력을 통해 현재는 파생상품 거래의 준거금리로 빠르게 정착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나라도 국제적 흐름에 맞춰 지표금리 개혁에 착수해 2021년 2월 KOFR를 선정했지만 여전히 CD금리가 파생상품 거래의 준거금리로 사용되고 있다"며 "CD금리는 실거래 부진과 신용위험이 포함돼 지표금리로서 적절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한은과 금융위원회 등 정책당국은 올해 3월 유관기관 및 시장 참가자와 함께 민·관 실무 워킹그룹을 구성해 실효성 있는 KOFR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며 "오늘 컨퍼런스에서는 KOFR 활성화 로드맵을 공유하고 학계·시장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자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내에서도 KOFR 연계 파생상품과 현물 시장에 대한 새로운 제도·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정책당국과 시장 참가자들이 풀어나가야 할 많은 난제들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KOFR가 우리나라 금융거래의 표준으로 빠르게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참여와 지지를 부탁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 한은 별관 2층에서 열린 '국내 무위험지표금리(KOFR) 활성화를 위한 주요과제 및 향후 추진방향' 컨퍼런스 개회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KOFR는 국채·통안증권을 담보로 하는 익일물 환매조건부채권(RP) 거래 금리를 사용해 산출한 우리나라의 무위험지표금리(RFR)를 말한다.
이 총재는 "주요 선진국은 2012년 리보(LIBOR)금리 조작 사태 이후 지표금리 개선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자국의 금융시장 상황에 맞는 실거래 기반의 무위험 지표금리를 개발·선정했다"며 "활성화 노력을 통해 현재는 파생상품 거래의 준거금리로 빠르게 정착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나라도 국제적 흐름에 맞춰 지표금리 개혁에 착수해 2021년 2월 KOFR를 선정했지만 여전히 CD금리가 파생상품 거래의 준거금리로 사용되고 있다"며 "CD금리는 실거래 부진과 신용위험이 포함돼 지표금리로서 적절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한은과 금융위원회 등 정책당국은 올해 3월 유관기관 및 시장 참가자와 함께 민·관 실무 워킹그룹을 구성해 실효성 있는 KOFR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며 "오늘 컨퍼런스에서는 KOFR 활성화 로드맵을 공유하고 학계·시장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자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내에서도 KOFR 연계 파생상품과 현물 시장에 대한 새로운 제도·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정책당국과 시장 참가자들이 풀어나가야 할 많은 난제들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KOFR가 우리나라 금융거래의 표준으로 빠르게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참여와 지지를 부탁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